국악사전

등가

  • 작성일2014-11-16

【정의】당상(堂上)에 편성되어 연주하는 악대의 명칭.

【이칭(異稱)】당상악(堂上樂)

【유래 및 역사】등가(登歌)라는 명칭에도 드러나듯 ‘등(登)’이란 ‘오른다’는 의미로서 궁이나 묘의 당상, 즉 댓돌 위에서 연주되는 음악임을 알려준다. 옛 제도에 의하면 등가악대는 현악기와 노래를 위주로 편성했으나 시대가 흐를수록 그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다. 세종대에는 음양(陰陽)의 제도를 따라 당상이 ‘양(陽)’에 해당하므로 음려(陰呂)에 해당하는 조의 음악을 쓰고 당하가 ‘음(音)에 해당하므로 양률(陽律)에 속하는 조의 음악을 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며 그 주장은 일부 실현에 옮겨졌다.

【내용】등가는 종묘나 문묘 사직 등의 제례를 거행할 때 음악을 연주하는 악대 가운데 당상, 즉 댓돌 위에 편성되는 악대를 말한다. 길례에 연주하는 제례악 이외에 가례(嘉禮)나 빈례(賓禮), 군례(軍禮)의 예를 행할 때에도 당상에 편성된 악대는 등가라 하였고 등가가 연주하는 음악은 등가악(登歌樂), 등가지악(登歌之樂)이라 했다. 등가의 악기 편성은 각각의 의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제례악을 연주할 때 등가는 당하에 편성되는 헌가(軒架), 일무(佾舞)와 함께 유가적 우주관의 기초를 이루는 천(天), 지(地), 인(人) 삼재사상을 반영한다. 당상 즉 댓돌 위에 편성되는 등가는 하늘을, 당하에 편성되는 헌가는 땅을, 등가와 헌가 사이에 위치하여 줄지어 서서 추는 춤인 일무는 사람, 혹은 사람의 일을 각각 상징한다. 당하(堂下)에 편성되는 악대 명칭의 경우 조선조에는 제후국의 악대 명칭인 헌가로 썼고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제국의 악대 명칭인 궁가(宮架)로 구분하여 썼으나 당상에 편성되는 악대의 명칭은 두 시기가 같아 모두 등가라 썼다.

【필자】송지원

【참고문헌】[서경]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서례] [악학궤범] [악서] [대한예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