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민속악

  • 작성일2014-11-16

【정의】 한국 전통음악의 한 갈래를 가리키는 말로 정악에 대비되는 개념.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에서 민속악이란 말이 쓰인 것은 20세기 이후이, 옛날에는 향악과 같은 개념으로 속악이란 말을 썼다. 향악의 개념을 속악으로 표현한 것은 아악이나 당악을 높였던 사대부들의 사대주의에서 비롯되었다.

【내용】민속악은 음악학의 개념으로는 예술 음악이 아닌 음악을 지칭할 때 쓰이는 용어로, 토속적이고 자생적인 습속에 의해서 자연 발생적으로 만들어진 대중음악에 한정해서 사용된다. 주로 일노래나 비전문가들의 향토민요 등이 여기에 속하며, 서양의 포크 송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민속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농사에 수반되는 농사짓기 소리와 해안 지방의 뱃노래를 비롯한 고기잡이 노래나 각 지방의 장례지내는 소리, 집터 다지는 소리, 짐 나르는 소리, 부녀자들의 길쌈 소리, 어린이들의 토속적인 동요, 대장간의 소리 등이다. 민속악은 각 지방의 무속음악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서 음악적으로 많은 공통점을 갖기도 한다. 지금은 많이 사라졌지만 이 소리 속에 전통 사회의 삶의 모습들이 많이 투영되어 있다.

해방 이후 민속악이라는 말은 첫째로 정악에 대비되는 개념, 둘째로 예술 음악에 반대되는 개념, 셋째로 궁중음악에 대비되는 세속음악이라는 개념으로 쓰여 왔다. 그런데 이 정의 속에는 향토민요가 주류를 이루어 일할 때 부르는 노래나 여흥을 위한 노래 외에도 판소리산조, 전문 소리꾼이 부르는 민요, 잡가, 시나위 등 전문가로 기량이 닦여진 사람에 의해서만 연주가 가능한 음악의 갈래까지 넣어 분류하는 관습이 있어서 용어의 본디 뜻과 쓰임에 불합리함이 발생한다. 따라서 민속악은 비전문가의 노래나 음악에 한정지어서 쓰고, 음악의 발생 장소와 수용층이 궁중이 아닌 민간에서 성장하여 전문가의 기량을 거쳐 무대화된 음악 갈래는 민간 음악이라는 용어로 바꾸어 부르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필자】김해숙

【참고문헌】송방송, 한국음악통사(일조각, 1984). 백대웅, 한국전통음악의 선율구조(대광출판사,1982. 도서출판 어울림, 1997), 백대웅, 한국음악사전(대한민국 예술원, 1985).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