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마뎅이소리

  • 작성일2014-11-16

 

벼 터는 소리

 

 

【정의】벼의 낟알을 털며 부르는 노래

【이칭(異稱)】개상질 소리, 벼바숨 소리, 자리개질 소

【내용】벼 타작은 벼 털기, 도리깨질 하기, 검불 날리기의 세 가지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우선 벼를 털어내는데 통나무에 다리를 붙여놓은 개상 또는 뉘어놓은 나무 절구통, 크고 널찍한 돌판 등에 볏단을 내리치는데 이를 개상질이라 한다. 개상질을 한 다음에는 도리깨질을 하여 남아 있는 것들을 마저 털어낸다. 그리고 털어낸 낟알들을 떠올려 조금씩 쏟아 내리면 옆에서 키로 바람을 일으켜 쭉정이와 검불을 날려 보내면 나락만 남게 된다.

개상질 소리는 또 벼바숨 소리, 자리개 소리라고도 하는데 이삭을 떨어내는 행위를 바순다 하고 벼를 털기 위해 볏단 묶은 줄을 자리개라 하기 때문이다. 벼 터는 소리를 성하게 불러온 곳은 충남 서부 지역의 홍성, 청양, 부여, 논산, 서천 등이다. 나머지 지역은 강원 영동 지역, 충북, 경북, 전북 등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 드물게 확인되고 있을 뿐이다.

 

 익산 삼기면 오룡리 검지마을 <개상질소리>가사는 다음과 같다.

 

왔나/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잘도친다 타작이야/어어허하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왔나/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곡우절에 씨를 던져

 

왔나/ 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하지절에 모를 심어/어어허하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삼복더위에 김을 매어/어어허하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왔나/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구시월에 수확했네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이 나락을 타작해서/어어허하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왔나/ 어이

에야하 헹/에야하 헹

삼동삼춘(三冬三春) 양식하세/어어허하

어허허헤/에히히 나헤

 

【필자】김현숙

【참고자료】임석재 채록,『한국구연민요:충북.전북민요』(CD), 1995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http://terms.naver.com/entry.nhn?cid=659&docId=1012115&mobile&categoryId=134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