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남생아 놀아라

  • 작성일2014-11-16

【정의】

 강강술래수 놀이의 하나로 남생이라는 동물의 동작을 흉내 낸 동물 유희 놀이.

【내용】

 ‘남생이’는 민물에 사는 거북 모양의 동물을 부르는 순우리말이다. 남생이는 목을 등껍질 속으로 숨겼다가 내밀었다 하면서 기우뚱거리며 걷는데, 이 모양이 우습다하여남생아 놀아라.”라고 노래하면 놀이꾼이 원 안으로 들어가 남생이를 흉내 내며 매우 우스꽝스러운 춤을 춘다. 근래에는 남생아 놀아라 노래에 맞추어 두 사람이 손을 꼬아 맞잡고는 춤을 추기도 한다.

 “남생아 놀아라 촐래촐래가 잘논다.”를 반복하여 부르는 것이 보통이나 진도의 경우에는 ‘어화색이 저색이1)/곡우남생2)놀아라 /익사 적사 /소사리3)가 내론다/ 청주 뜨자 아랑주4)뜨자/ 철나무초야5)내 젓가락/ 나무접시 구갱캥’의 가사를 덧대어 노래하고 바로 이어 개고리 타령을 부른다. 지역에 따라 ‘촐래 촐래’ 대신 ‘발랭이 발랭이’, ‘출랑이 촐랑이’와 같이 부르기도 한다.

 남아 놀아라는 3소박 4박의 자진모리장단에 맞는다. 가창 방식은 유동적이어서 1장단메기고 1장단받거나, 2장단씩 메기고 받을 수도 있고, 제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미,,,도’의 육자배기조로 되어 있으며, 빠르게 부를 때에는 ‘미,,도’만을 사용한다. 빠른 속도로 노래하기 때문에 시김새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필자】김혜정

 


1) ‘어 허새비(허수아비) 저 새비’가 변한 말이며 남생이가 허수아비만 보고 너무 일찍 나온 것을 뜻한다고 함.

2) 남생이는 9월 중에 들어갔다가 음력 3월 중순 곡우 때쯤 나옴.

3) ‘아지이’로 추측함.

4)찌꺼기로 곤 품이 낮고 독한 소주.

5)젓가락을 만들기 위해서 베어낸 나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