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질꼬냉이

  • 작성일2014-11-16
 

【정의】

 전남에 전승되는 민요. 일 년에 세 차례 논매기를 하는데, 맨 마지막 논매기를 끝내고 집으로 돌아가면서 부르는 노래. ‘질꼬냉이’는 ‘길군악’을 전라도 사투리로 말한 것임.

【내용】

 질꼬냉이는 한 해의 농사 장원을 한 상머슴을 뽑아서 소에 태우고 집으로 돌아가는 장원질에 부르는 노래이다. 장원질은 과거 급제에 장원한 사람들이 삼일유가를 하며 축하하는 모습을 그대로 흉내 내는 놀이이다. 삼일유가는 어사화를 쓴 급제자가 말을 타고 3일 동안 거리를 행진하는데, 장원질은 농사에 장원을 한 상머슴의 머리에 지화를 만들어고 소에 태워 집까지 행진을 한다. 집에서는 논의 주인이 먹을 것을 마련하여 이들을 대접하고 장원한 머슴에게는 주인집 여주인이 술을 따라주고, 수건과 같은 선물을 마련해 준다.

 장원질은 전라남도에서 많이 하는데, 전남의 장원질소리는 사당패 소리를 수용한 에농데농류, 질꼬냉이류, 제화소리류, 그리고 논매는소리를 장원질소리로 활용하는 산아지타령과 어리사저리사, 두룸박타령 등이 있다. 질꼬냉이류를 부르는 지역은 진도군과 해남군 일대이다. 풍농의 기쁨을 노래하는 때이기 때문에 노래의 분위기도춤 장단에 어울리게 들썩인다.

 ‘(미)솔,,,,미’의 음계를 사용하고 있다. 전라남도의 민요이지만 육자배기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 노래가 본래 사당패에 의해 전파된 민요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곡은 엄밀한 의미에서 민요가 아닌 산타령조로 보아야 한다. 박자는 3소박 3박의 세마치장단에 맞는다. 8장단을 메기고 8장단을 받는다. 풍물굿 반주로 노래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