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긴난봉가

  • 작성일2014-11-16

【정의】황해도 지방을 대표하는 민요인 ‘난봉가’류 소리 가운데 가장 느린 악곡.

【유래 및 역사】<긴난봉가>는 20세기 초엽의 유성기 음반에 <중난봉가>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이보다 더욱 느린 악곡이 <원난봉가>로 녹음되어 있다. 즉, 오늘날의 <긴난봉가>보다 더욱 느리게 부르는 <원난봉가>가 있었고, 그 다음의 <중난봉가>-<자진난봉가>의 형태로 노래 불렸는데, 아주 느린 <원난봉가>가 불리지 않게 되면서 <중난봉가>가 <긴난봉가>의 이름을 얻게 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난봉가’에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가 있으며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숙천난봉가>, <사리원난봉가> 등 다양한 노래가 전승되었다. ‘난봉’은 주색잡기 등의 방탕한 행동을 가리키지만 실상 이 노래는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내용이 많다. 보통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병신난봉가>, <사설난봉가>의 순서로 이어 부르는데, 점차 속도도 빨라지고 노랫말도 직설적·해학적으로 변하며 가락도 흥겹게 진행된다. 서도 본고장에서는 이와 같은 ‘난봉가’ 계통의 소리를 ‘잡가’로 간주하기도 한다.

 가창 방식은 민요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인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리듬은 약간 느린 삼박자 계통의 중모리장단에 맞는다. 북한에서는 <긴난봉가>, <자진난봉가>의 가사와 창법을 약간 바꾼 창작 민요가 <정방산성가>라는 이름으로 전한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정연, [서도소리대전집]((서울: 경원각출판사, 1979); 손인애, ?19세기 말, 20세기 초 경·서도 통속민요 형성의 일면?, [한국음반학](한국고음반연구회, 2008) 18집; 이창배, [한국가창대계](서울: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 [국악개요](서울: 정연사, 1961). 최성룡, ?긴·자진난봉가에 대한 연구?, [한국전통음악학](단국대학교) 7집. 유성기음반(RegalC273A 원난봉가; VictorKJ1040B 중난봉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