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헌가

  • 작성일2014-11-16

【정의】당하(堂上)에 편성되어 연주하는 악대의 명칭.

【이칭(異稱)】당하악(堂下樂)

【유래 및 역사】옛 제도[古制]에 의하면 헌가악대는 포죽(匏竹), 즉 관악기를 위주로 편성했으나 시대가 흐를수록 그 원칙은 지켜지지 않았다. 세종대에는 음양(陰陽)의 제도를 따라 당하가 음양의 ‘음(陰)’에 해당하므로 양률(陽律)에 해당하는 조의 음악을 쓰고 당상이 ‘양(陽)에 해당하므로 음려(陰呂)에 속하는 조의 음악을 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며 그 주장은 일부 실현에 옮겨졌다.

【내용】헌가는 종묘나 문묘 사직 등의 제례를 거행할 때 음악을 연주하는 악대 가운데 당하, 즉 댓돌 아래 묘정(廟廷)에 편성되는 악대를 말한다. 길례에 연주하는 제례악 이외에 가례(嘉禮)나 빈례(賓禮), 군례(軍禮)의 예를 행할 때에도 당하에 편성된 악대는 헌가라 하였고 헌가가 연주하는 음악은 헌가악(軒架樂), 헌가지악(軒架之樂)이라 했다. 헌가는 제후국의 위격에 해당하는 악대의 명칭이므로 조선시대 전 시기를 통하여 사용되었으나 고종이 황제국을 선언한 1897년 이후의 대한제국 시기에는 그 명칭이 황제의 악대를 이르는 궁가(宮架)로 바뀌었다. 헌가의 악기 편성은 각각의 의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

 제례악을 연주할 때 헌가는 당상에 편성되는 등가(登歌), 일무(佾舞)와 함께 유가적 우주관의 기초를 이루는 천(天), 지(地), 인(人) 삼재사상을 반영한다. 당상 즉 댓돌 위에 편성되는 등가는 하늘을, 당하 즉 전정(殿庭)이나 묘정(廟廷)에 편성되는 헌가는 땅을, 등가와 헌가 사이에 위치하여 줄지어 서서 추는 춤인 일무는 사람, 혹은 사람의 일을 각각 상징한다.

【필자】송지원

【참고문헌】[서경]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서례] [악학궤범] [악서] [대한예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