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작성일2014-11-16

【정의】풍물놀이와 무속에 사용되는 금속으로 만든 타악기.

【이칭(異稱)금정(金鉦), 나(?), 금라(金?), 금(金), 대금(大金), 금고(金鼓) 등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고 무속에서는 대양, 대영, 울징 등으로, 절에서는 금고 또는 태징(太鉦)으로 부름.

【형태, 기능 및 특징】여러 가지 쇠(구리, 상납 혹은 주석)의 재료를 섞어서 만든 합금재질로 만든 울림판에 끈을 달고 끝을 불룩하게 헝겊을 두른 채로 악기를 두드리며 소리를 내는 무율 체명 악기(음정을 내지 않는 몸체진동악기)이다. 무속음악, 풍물 음악, 불교음악, 군악 등에 널리 쓰이며 풍물놀이 등에서 함께 연주하는 꽹과리보다 크 궁중음악용, 무속용, 풍물용 징의 크기와 장식이 각각 다르다. 군악이나 풍물용 징은 끈을 매는데 무속용 징은 따로 끈을 매지 않는다.

【유래 및 역사】고구려 고분벽화에 행렬악대 그림에 징으로 보이는 악기가 있는 것으로 미루어 행악에서 연주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또한 절에서교 의을 행할 때 연주하므로 삼국시대 불교문화와 같은 시기에 유입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고려 시대에는 군례 및 행악에 사용되었고, 선 시대에는 군례, 행악, 궁중 연향, 정재, 제례악에 편성되었다. 세종대왕이 작곡한 정대업에서 태평소와 함께 무공(武功)을 상징하는 악기로 사용되었고 세조 이후 채택된 종묘제례악의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종헌(終獻)에서 징을 열 번 울려 의례를 마치는 대금 십차(大金 十次)에 사용된다.

현재 징은 종묘제례악, 대취타 등의 궁중음악과 풍물, 굿 음악, 시나위, 구음 살풀이 등의 민속음악, 불교 의식 음악 등 종교음악에 고루 사용되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내용】징은 음악에 따라 왼손으로 들고 오른손에 채를 잡고 치기도 하고 틀에 매달아 치기도 하며 엎어놓고 치기도 한다. 악기의 연주법은 따로 정해진 것은 없으나 강하게 치기, 약하게 치기, 울림판 막고 치기 등의 연주 방이 있다. 사물놀이와 풍물에서는 꽹과리와 장구가 다양한 기법으로 기교를 구사하는데 비해 징은 원점(原點)을 울리면서 단락을 구분 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필자】김희선

【참고문헌】송혜진『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