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작성일2014-11-16

【정의】호랑이 모양의 나무로 된 타악기.

【이칭(異稱)】갈(?)

【유래 및 역사】려 시대 대성 아악에 편성되어 들어온 이후 아악에 사용.

【형태, 기능 및 특징】호랑이를 본뜬 모양의 등줄기에 톱날처럼 생긴 톱니를 긁어 소리 내는 타악기로 음악의 종지를 알리는 역할을 하는 악기.

【내용】어는 아악(雅樂)의 팔음(八音) 중 목부(木部)에 드는 타악기로, 호랑이가 엎드린 모양을 한 악기이다. 아악 연주에서는 주로 음악의 종지(終止)를 알리는 역할을 한다. 어는 무엇을 막는다는 뜻의 ‘어’와 의미가 통하며, 악기를 쳐서 음악을 끝마치는 관습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다른 이름으로 ‘갈’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호랑이 등에 부착된 톱니를 채로 ‘드르륵’ 긁을 때 나는 소리가 중국어의 ‘갈’자 발음과 비슷한 것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어는 고려 시대 대성 아악에 편성되어 들어온 이후 아악 연주에 사용되어 왔는데, 현재는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 편성된다. 특경, 등 제례악의 악지(樂止)를 연주하는 타악기와 어울린다. 어를 치는 수평적인 동작은 축의 수직적 동작으로 열었던 땅과 하늘을 다시 맞닿게 하여 음악을 그치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어는 나무로 조각한 호랑이와 받침대, 대나무 끝을 세 가닥씩 세 개로 갈라 아홉 조각을 만든 채인 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대의 면적은 94.1×37.8㎝, 호랑이의 길이는 96㎝, 엎드린 자세의 높이는 37㎝, 나무 톱니의 총 길이는 68㎝, 톱니의 높이는 1.5-2㎝ 가량이며, 톱니의 수는 모두 27개이다. 채는 부의 채와 같다.

연주자는 어의 뒤에 서서 오른손에 대나무채를 쥐고 허리를 구부려 호랑이의 등에 난 27개의 나무 톱니를 긁거나 머리 부분을 쳐서 소리를 낸다. 음악을 끝낼 때 모두 3번을 치는데, 먼저 호랑이의 머리를 3번 치고, 나무 톱니를 등줄기부터 꼬리 쪽까지 1번씩 훑어 내리는 것을 3번 반복하여 마무리 한다.

【필자】박소현

【참고문헌】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