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작성일2014-11-16

【정의】나무로 된 사각 절구통 모양의 타악기.

【이칭(異稱)】강(?)

【유래 및 역사】려 시대에 대성 아악과 함께 수용된 악기.

【형태, 기능 및 특징】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악기로 사각의 나무재질로 절구통처럼 생긴 타악기.

【내용】 축은 아악(雅樂)의 팔음(八音) 중 목부(木部)에 속하는 악기로 나무재질의 사각형 절구통처럼 생긴 타악기이다. 축은 아악 연주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하는데, 특종(特鐘)과 (拍), 등과 함께 제례악에서 음악의 시작에 연주하는 타악기와 어울려 독특한 울림을 만들어낸다. 축은 네모난 나무상자인 몸체와 채로 구성된다. 연주자는 선 자세로 약간 허리를 구부리고 오른손으로 채를 쥐어 곧게 세웠다가 절구질하듯이 바닥 면을 내리친다.

 고려 시대에 대성 아악의 한 가지로 수용된 이래 아악 연주에 사용되어 왔고, 현재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 편성된다. 당상(堂上)에 있을 때는 축을 강(?)이라 하고, 축을 치는 망치자루를 지(止)라 한다.

 축은 네모난 나무 상자인 몸채와 채로 구성되어 있다. 네모 상자는 바닥면이 좁고 위가 약간 넓은 사다리꼴 모양의 육면체로, 윗부분의 넓이가 약 50㎝, 아래부분의 넓이 40㎝, 깊이 40㎝ 정도의 소나무로 짠 속 빈 궤짝 모양이다. 윗면 중앙에 채가 드나들 수 있을 만한 둥근 구멍을 지름 9㎝ 정도로 뚫는다. 상자의 바깥 면에는 푸른색을 칠한 뒤 앞뒤 양면에 검은색으로 간단한 산수를 그려 넣는다. 축의 채인 축퇴(?槌, 혹은 지)는 길이 60㎝, 굵기 5㎝ 가량의 절굿공이처럼 생긴 막대로, 붉은 칠을 한다. 축의 채는 몸채와 분리시키지 않고 언제나 통 속에 꽂아둔다. 이 밖에 축을 올려놓는 방대는 면적이 45×45㎝, 높이는 36㎝ 정도이다.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축은 항상 음악의 종지를 알리는 ‘’와 함께 음악 편성 안에서 상징적 기호로 존재한다. 축은 악기 배치에서 언제나 동쪽에 놓이고, 겉면은 동쪽을 상징하는 청색[연초록]으로 칠한다. 축은 양(陽)의 상징이며, 축을 치는 수직적인 동작은 땅과 하늘을 열어 음악을 시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축의 이러한 상징 기호는 음(陰)을 상징하는 어가 종지를 뜻하고 서쪽에 배열되며 서쪽을 상징하는 흰색으로 표시되는 것과 대비를 이룬다.

【필자】 박소현

【참고문헌】 『고려사』

『국역악학궤범』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0.

장사훈, 『한국악기대관』 서울: 한국국악학회, 1969.

이혜구, 『신역악학궤범』 서울: 국립국악원, 2000.

송혜진, 『한국악기』 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