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상주모내기/상주모심기

  • 작성일2014-11-16

 

상주모심기소리

 

【정의】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모심는 소리를 편곡한 곡.

【이칭(異稱)】공갈못노래, 채련요(採蓮謠), 모노래

【내용】경상북도 지방의 대표적 민요로,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13호 상주민요에 포함되어 있다. 모심기소리는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로 경상북도 현지에서는 보통 ‘모노래’라고 부른다. 김소희와 박귀희 등이 이 곡을 남도민요로 불러서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출현음은 ‘레미라도레미-미레도라솔미레'의 넓은 음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아래 음인 ’레‘음은 편곡 과정에서 추가된 음으로 잠시 경과음으로 사용되고 있어 음계상의 음으로 해석하기 어렵다. 따라서 ’미라도레미-미레도라솔미‘의 전형적인 메나리조로 볼 수 있다.

 경상북도의 모노래는 박자가 불규칙하거나 6박에 가까운 구조를 보이는데, 편곡된 상주모심기소리는 중모리장단에 맞게 편곡되어 있다. 악곡의 형식은 중모리 4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이 두 개의 단락으로 나뉜다. 두 단락은 2장단씩으로 되어 있으며 가사가 연계성있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곡은 두 개의 팀을 나누어 한 팀이 2개의 장단을 부르면 다른 팀이 2장단을 주고받는 교환창 방식으로 부른다. 동일한 받는 소리를 사용하는 메기고 받는 형식과 달리 매번 메기는 가사의 대구(對句)가 되는 가사로 노래를 받으며, 한 사람이 메기는 것이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노래를 메기고 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필자】김혜정(경인교대)

【참고문헌】김혜정,『개정판 초등국악교육의 이해와 실제』, 민속원, 2008.『교육용 표준악보 100선』, 국립국악원, 201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