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행사정보

제2회 차세대명무전 [대관공연]

제2회 차세대명무전

  • 부제목

    제2회 차세대명무전

  • 공연기간

    2014-03-05(수) ~ 2014-03-05(수)

  • 공연일시

    이동
  • 공연장소

    우면당

    관람시간

    90분

  • 주최

    한국춤제전위원회

  • 주관

    국악신문사

  • 후원

    (사)한국국악협회,(재)국악방송

  • 가격
     

    전석 30,000원 - 학생할인 50% - 단체(10인 이상)할인 30%
    할인정보
    전석 30,000원 - 학생할인 50% - 단체(10인 이상)할인 30%
  • 문의전화

    010-5271-1411

    관람등급

    8세 이상(2017.12.31 이전 출생자)

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 30,000원 - 학생할인 50% - 단체(10인 이상)할인 30%

상세내용

제2회 차세대 명무전
 
2014년 제2회 차세대 명무전을 준비하면서...
 
들어도 들어도 싫지 않은 소리가 우리 가락이요.
보아도 보아도 싫지 않은 고운 몸짓이 우리네 춤이요.
우리 전통예술은 우리만이 가진 자산입니다. 우리 전통예술의 가락과 흥은 한민족이면 누구나 느낄 수 있는 감정과 정서를 표현하고 있으며, 세계 속에서 한국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합니다. 세계 속에 한국이 올바로 서기 위해서는 이러한 지표가 훌륭히 계승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오늘 이 무대에 선 차세대명무들이 중요합니다. 통상적인 이야기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차세대 명무로 성장 동력을 지닌 신인들의 무대가 많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저희 국악신문사는 차세대 명무들이 성장하고 국악계를 이끌어 갈 인재들을 주목하고 그들의 무대를 조명하겠습니다. 특히 이번에 열리는 차세대 명무전에 아낌없는 사랑과 격려, 후원해주시기 부탁드립니다.
2014년 차세대 명무전 무대에 초대되는 신인들은 지난 2013년 12월 15일에 경연을 통하여 부문별로 선발되었습니다.
초대되는 살풀이, 태평무, 정재, 입춤, 한량무, 창작무, 진도북춤 등 세분하여 선발했습니다.
차세대 명무전는 기량과 능력을 무대를 통해 한껏 발휘할 수 있도록 하며, 기회를 제공하여 한국무용 분야를 전공하고 전승하려는 뜻이 있는 이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출연진 소개 및 공연순서
 
1부
김현아_정명숙 류 입  춤 
임현종_임이조 류 한량무
김선희_최승희 류 쟁강춤 
김설화_창작무    봉선화
김현진_한영숙 류 태평무
 
2부
변현조_정  재 류 춘앵전(정재) 
최현정_이길주 류 호남산조춤
민혜미_김광숙 류 살풀이춤
백수경_강선영 류 태평무
이해선_박병천 류 진도북춤
 
------------------------------------------------------------------
 
1부
▣ 김현아_정명숙류 입춤
기본 춤을 바탕으로 짜여진 즉흥적인 춤으로 허튼 가락의 음악에 맞추어 신축성 있고 유동적인 호흡의 유연성이 돋보이는 춤이다.
입춤은 곧 기본동작을 근간으로 하여 즉흥적으로 짜여지게 되는데, 그 구성은 조직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산만하지 않으며 춤사위 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고 하나의 춤사위와 다른 춤사위가 마치 이야기를 주고받듯 이어지는 것이 춤의 특성이다.
많은 이들이 입춤을 기본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하지만 탄탄한 기량과 실력이 없인 출 수 없는 춤이기도 하다.
마치 동양 산수화처럼 춤사위 사이에 여백의 아름다움이 있으며, 단아한 품격을 잃지 않고 있다는 점이 아름다움의 요체(要諦)이다.
 
프로필
동덕여자대학교 졸업
수당 정명숙 전통춤 보존회 단원
제9회 전국선사무용경연대회 대상(서울특별시장상)
제19회 전국전통공연대회 대상
제9회 여성전통예술경연대회 금상
 
▣ 임현종_임이조류 한량무
한량무는 남사당패 공연에서 연희되었던 극 형식의 춤으로, 풍류를 즐기는 한량의 멋스런 모습을 묘사한 춤으로 남성 춤의 백미이다. 자연스러운 어깨춤과 맛깔스러운 발 디딤으로 흥의 절정을 표현 하는 것이 임이조 한량무의 특징이다.
 
프로필
2011년 5월 27일 제41회 동아무용콩쿠르 학생부 한국창작 <은상>
2013년 6월 29일 제31회 청주 전국 대학무용경연대회 <금상>
2013년 4월 21일 제7회 전국 우리춤 맥잇기 경연대회 <우수상>
 
▣ 김선희_쟁강춤
손목에 방울을 이어만든 팔찌를 차고 있으며. 팔을 움직일 때마다 방울소리가 난다. 이방울소리가 쟁강쟁강 들린다하여 쟁강춤으로 불리고있다.
대나무 살에 빨간색 천을 붙여 만든 부채는 들어올리기도 하고 옆으로 휘젓기도 하는데. 귀신을 쫓아내는 모습이라 하며 동시에 복을 맞이하는 장면이라 전해진다.
 
프로필
중앙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소리사위 예술단 단원
 
▣ 김설화_창작무
울밑에선 그 봉선화
"울밑에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옛날 그 당시는 처량하게 보았을지언정 지금 네모습은 너무 강하고
아름답구나.
부디 모든이들이 너처럼 아름답고 강하게 살았으면 얼마나좋으리.
 
프로필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재학중
 
▣ 김현진_한영숙류 태평무
한성준 옹에 의해 창안되고 그의 손녀인 한영숙 선생에 의해 완성된 태평무는 경기 도당굿의 화려한 장단을 도입하여 전통춤의 영역을 넓혀준 춤으로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아함과 고고한 우아미가 묻어나오며 화려하고 섬세한 발놀림은 이 춤의 특징이며 정.중.동의 멋이 어우러진 작품이다.
 
프로필
단국대학교 무용과 졸업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재학중
포천시립민속예술단 단원
제 14회 여수진남 전국국악경연대회 우수상 수상
제 4회 하날무용제 은상 수상
2013 젊은신인들의 무대 '이매방류 입춤' 출연
 
 
2부
▣ 변현조_정재류 춘앵전
중국 당나라 고종(高宗)이 어느 봄날 아침에 버드나무 위에서 지저귀는 꾀꼬리 소리에 감명을 받아 악사(樂師) 백명달(白明達)에게 꾀꼬리의 울음소리를 묘사하게 하여 춘앵전을 작곡하라고 명(命)했으며 그에 어울리는 춤을 만들었다고 고사가 전한다.
1828년 조선조 순조 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의 보령(寶齡) 40세 탄신일을 축하하기 위한 효명세자 예제(睿製)의 창사를 부르며 추는 춤으로 정재로 창작하였다. 효명세자는 예능에도 탁월한 재능을 보여 많은 악장과 정재를 창작하였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춤이 춘앵전이다. 화관을 머리에 쓰고 꾀꼬리를 상징하는 노란 빛깔의 앵삼(鶯杉)을 입고 오색 한삼(汗杉)을 끼고 길이 6자의 화문석(花紋席) 위에서만 추는 춤으로 우아하며 매우 정적인 춤사위를 특징으로 하였다.
 
프로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 졸업
제 10회 국제한국전통춤경연대회 "은상"
現, 정재연구회 회원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일무 이수자
 
▣ 최현정_이길주류 호남산조춤
이 춤은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된 춤으로 호남의 판소리와 시나위를 바탕으로 한 산조음악에 맞추어 추는 입춤 형식의 춤이다.
진양조부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까지 느린 장단에서 빠른 장단으로 몰아가는 선율 속에서 장단과 장단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한과 흥, 그리고 신명을 자유롭게 승화된 섬세한 몸짓으로 구현하는 춤이다.
특히, 이 춤은 호남지방 기방춤의 성향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인위적 기교나 정형화된 움직임보다는 천지인(天地人)의 조화와 절주(節奏)를 따르는 몸의 기(氣)와 리듬을 춤으로 자유롭게 형상화하고 있다.
 
프로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예술전문사제37회 동아무용콩쿨 일반부 창작금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문화콘텐츠학 박사과정
현, 서울사이버대학교 뉴미디어콘텐츠공학과 외래교수
(사)호남춤연구회 회원
 
▣ 민혜미_김광숙류 살풀이 춤
조용한 침묵 속의 아쉬운 영혼들을 생각하며 살풀이 장단 선류에 몸과 마음을 실어 조심스러이 하얀 버선발을 장전 드딤으로 가만히 드러낸다.
수 많은 사연을 흰 수건에 담아 희노애락을 허공에 풀어 날리며 이승의 영혼들에게 아쉬운 미련을 버리고 휘영 청청 밝은 달 밤에 지地 , 공空 , 천天으로 하얀 빛타고 훨훨 날려 띄워 보낸다.
 
프로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 졸업
서현무용학원 부원장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48호 예기무 전수자
 
▣ 백수경_강선영류 태평무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된 한성준류 태평무는 현재 강선영선생이 기능보유자로 있다. 태평무는 왕십리 당굿의 무속장단을 차용하여 무대 춤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나라의 태평성대를 기원한다는 내용이 깃들어 있다.
진쇠장단, 낙궁, 터벌림, 도살풀이 등 무속장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 다양한 장단과 그에 수반되는 발짓 춤의 묘미가 일품으로 꼽힌다.
태평무는 원래 왕과 왕비 2인무 형태로 꾸며진 춤이지만, 전승과정에서 여성독무형태로 정착되었다. 따라서 원래의 태평무는 조선왕과 왕비의 복색을 착용하고 춤추는 형태였다. 그러나 이 춤이 창작될 당시가 일본의 지배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조선왕과 왕비 복색 대신 신라왕과 왕비의 복색으로 대신 입고 무대에 오르곤 하였다고 한다. 이번 무대에서는 태평무 창작당시의 모습으로 재현된다.
 
프로필
선화예중 무용과 졸업
국악예고 무용과 졸업
중앙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포항 연오랑세오녀 예술단 안무가
 
▣ 이해선_박병천류 진도북춤
진도북춤은 중요 무형문화재 제97호 진도씻김굿 보유자 박병천 선생님이 전라남도지방 북놀이를 재구성한 춤이다.
두손에 북채를들고 북가락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즉흥성과 내재된 신명으로 춤을 이끌어나간다.
강렬한 북가락,유연하고 섬세한 장구가락에 맞는 남성적 힘과 여성적인 섬세함이 어우러진 춤사위의 조화가 일품인 춤이다.
 
프로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전문사 재학중.
현)서울시 무용단 단원.
2011.제38회 "춘향국악대전"무용부대상,및 문화부장관상수상.
현)한민족문화협회 무용 홍보대사.

관람후기

0건 (1 / 0페이지)
관람후기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해당 게시물이 없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공연장정보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우면당 좌석배치도, 총 231석, 장애인석 제외, 좌석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석: 일반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발코니석: 극장의 위층 사이드에 위치한 좌석

우면당 공간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가열과 다열은 발코니석이 있으며, 나열은 7행과 8행 사이가 통로와 계단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 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나열 1행 1~10번, 2행 11~21번, 3행 22~33번, 4행 34~46행, 5행 47~60번, 6행 61~75번, 7행의 76~91번, 8행 92~102번, 9행 103~114번, 10행 115~127번, 11행 128~139번 좌석이 있습니다.

다열 1행 앞부분에 장애인석 1~2번이 있으며, 1행 1~4번, 2행 5~9번, 3행 10~17번, 4행 18~25번, 5행 26~32번, 6행 33~38번 좌석이 있으며, 7행은 39~46번, 발코니석으로 2석씩 구분되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 예매, 공연 정보 등은 위의 ‘문의전화’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i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취소 및 환불 방법 표 -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로 구성됨
예매방법 인터넷 예매 전화예매 방문예매
취소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취소변경
가능시간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유의사항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예금주와 계좌번호가 다를 경우, 환불 처리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 부분 취소·좌석변경은 불가능하며, 전체 취소 후 다시 예매해야합니다.
   - 관람권(티켓)은 유가증권이므로 분실 및 훼손의 경우, 재발행 및 취소/환불/변경 불가합니다.
   - 초대권은 환불 및 변경이 되지 않습니다.
   - 국립국악원 회원 가입 시, 마이페이지에서 예매내역을 확인·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