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상세
가격/할인정보
전석 20,000원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24세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병역이행명문자 및 동반 1인
- 사회취약계층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 1인
- 으뜸회원(공연당5매)
[30% 할인]
- 국악지음 회원
- 버금회원(공연당5매)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산모카드, 다둥이 행복카드 소지자
- 신세계카드 결제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 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 할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 지참
**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상세내용
풍류사랑방 수요춤전
2015.3. ~ 2015.12. 매주 수요일 오후 8시
눈을 현혹시키는 조명과 장치가 없는 민낯 무대 손끝에서 발끝까지 오직 무대의 춤사위로 승부한다!
틀에 박힌 화려한 무대를 벗어나 젊은 춤꾼에서 명인까지 살아있는 우리 음악의 선율에 몸을 맡긴다.
몸이 표현하는 서사를 통해 인생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눈앞에서 펼쳐지는 특별한 경험!
11.11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오후 8시
임이조류 권영심의 춤 - ‘해밀’
해밀은 순수 우리말로서 비온 후에 맑은 하늘을 뜻한다. 선운 임이조류의 전통춤을 통하여 맑게 갠 하늘에 그를 회고하며 두발사뿐 두손 어여쁘게 선운의 춤을 그려본다.
출연
- 권영심_(사)선운임이조춤보존회 회장 , 중요무형문화재 제 97호 “살풀이 춤” 이수자
- 손미정_ 前 삼성무용단
- 최은규_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 정자영_ 제52회 개천예술제 일반부문 장원
- 이서윤_ 제16회 완도 장보고 국악대전 무용 명인부 대상
음악
전통음악그룹 ‘판’(유인상)
공연내용
1. 입춤 : 춤_ 권영심
모든 전통춤 움직임의 근간을 이루는 기본춤으로 입춤이라고도 불리며 예전 권번(券番)의 춤 학습에서 가장 중요시 되던 춤이다. 이 춤은굿거리, 자진모리 등 가장 기본이 되는 장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흥풀이춤의 일종으로 흥과 멋이 춤의 주체이며, 분위기에 따라 흥을 조율하면서 출 수 있는 즉흥성이 이 춤의 특징이자 매력이기도 하다. 특별한 춤옷이나 소도구가 필요치 않으며 장소와 분위기에 따라 얼마든지 춤의 전후순서를 바꾸어 출 수 있다는 점이 이 춤의 장점이다.
2.한량무: 춤-이서윤
仙雲 임이조류 한량무는 마당극 형식의 춤이었던 것을 1978년 국립극장 무형문화재 발표회에서 仙雲 임이조에 의해 처음으로 독자적으로 한량의 춤만을 재구성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량무는 선비의 내면적 심성을 한과 흥의 이미지로 표출하는 춤으로 임이조류의 한량무는 남성 특유의 호방한 춤사위로 전통춤의 기품을 잘 보여준다. 특히 호흡, 장단, 어깨춤이 시나위 가락과 어우러지며 관객의 흥을 돋운다.
홍안의 얼굴이 갓과 부채로 가리어질 때는 선비의 자태가 그대로 묘사되며 장단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섬세한 발디딤은 춤의 절정을 이룬다.
3.살풀이춤: 춤-권영심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이매방류 살풀이춤은 고도로 다듬어진 전형적인 기방 예술로서 한과 신명을 동시에 지닌 신비한 느낌을 주는 춤이다. 특징은 맺고 풀어냄이 기본이 되어서 춤사위 하나하나, 손끝에서 발끝까지 에너지가 표출된다.
4.교방살풀이춤: 춤- 손미정, 최은규, 정자영
임이조의 교방살풀이춤은 1978년에 초연되어졌으며 기존의 한을 담은 살풀이춤과는 다른 느낌의 춤으로 여성의 품위와 격조 있는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이 춤의 핵심은 교태미를 섬세하게 표현하고자 발디딤새가 정교하고 음악과 어우러지며 박자와 박자 사이를 넘나드는 묘미를 살펴볼 수 있다.
임이조의 교방살풀이춤 특징 중 하나는 엇모리장단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어깨를 들썩이며 굴신 상태에서 연속되는 발디딤새는 최소한의 공간에서 전개되는 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소품으로 활용되는 짧은 수건은 여성의 소지품 중 하나를 활용한데서 창안되었으며 여성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미를 강조하여 머리끝에서 발끝까지의 매무새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특히 정교한 춤사위는 맺고 풀어줌이 정확하며 몸 전체를 실타래가 풀리듯 점차적으로 이완과 긴장을 반복한다. 이 춤은 크게 예비동작이 도입부분에서 나타나는데 짧은 수건을 살짝 늘어뜨리고 관조하는 분위기로 의식하지 않은 듯 관객을 등지고 시작된다. 춤의 연결동작은 일자 펴기와 한손 감아 잔걸음으로의 이동, 엇박에 가로 지르는 춤사위가 있으며 수건을 어깨에 얹고 좌우걸이, 비딛음, 안가랑, 완자걸이, 까치걸음이 작은 우주를 그리듯 동선을 그리며 이동한다. 발디딤이 섬세하기는 하나 바삐 보이지 않으면서 화려함 속에서 초연함을 표현한다 .
5 . 화선무: 춤-권영심
한국전통춤의 기본춤사위를 바탕으로 짜여진 즉흥적인 춤으로 허튼 가락의 장단에 맞추어 추며, 꽃(花) 부채(扇)을 의미하는 ‘화선무花扇舞’로 제목을 붙여 1978년 선운임이조선생에 의해 초연되어진 춤이다. 이 춤의 소품인 부채는 여인네의 소지품 중 부채를 들고 추는 춤으로 춤사위가 단조로워 보이나 발디딤이 섬세하고 예민하여 여인의 멋과 맵시를 엿볼 수 있는 춤이라 할 수 있다. 춤의 장단 구성은 도입부분에 서정적인 대금가락이 잠시 흐른 후 때에 따라 두 가지 장단구성으로 진행되어지는데 첫째는 굿거리, 자진모리, 마무리굿거리.., 둘째는 굿거리, 동살풀이, 마무리굿거리로 추어진다. 오늘 무대에 오르는 화선무는 선운임이조선생이 2013년 7월 젊은 악사들과 함께 정형화시킨 두 번째 유형의 장단구성으로 추어진다.
다음공연 안내
- 11.18 한국무용으로 시도하는 춤, 모노드라마 ‘사랑하나이다.’
- 계현순 국립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역임, 예사랑춤터 무무헌 대표
- 11.25 명인 명무전 국수호의 춤
- 국수호 (사)국수호 디딤무용단 이사장 겸 예술감독, 서울시 문화재 위원회 위원
- 12.2 명인 명무전
- 인남순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조교, 한국전통문화 연구원 원장
- 12.9 김수현과 춤벗들의 풍류나들이
- 김수현 전북도립 국악원 무용단 단장
관람안내
전석20,000원, 문의 및 안내 02-580-3300 www.gugak.go.kr
[50% 할인]
- 경로우대자 및 동반 1인
- 국가유공자 및 동반 1인
- 문화 패스 (24세 이하 또는 대학 학생증 소지자)
- 예술인 패스
- 장애인 및 동반1인
[30% 할인]
국악지음 회원
[20% 할인]
- 문화릴레이티켓 소지자
- 신세계 카드 소지자
- 아시아나항공 탑승권 소지 고객(탑승7일이내)
- 일반 20명 이상 단체
※ 중복 할인 불가, 학인적용 시 신분증 및 복지카드지참, 미지참 시 현장 차액발생
오늘 공연의 감동을 사진으로 남기세요! (커튼콜시,자유로은 촬영 사진이 있습니다. 감동의 주인공등를 사진으로 담아가세요.)
※ 본 공연은 일정 및 프로그램은 주최측의 사정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습니다.
기대평
기대평작성
- .
공연장정보

풍류사랑방 좌석배치도, 총 130석, 장애인석 제외
일반석: 일반 좌석으로 예매가 가능한 좌석, 장애인석(휠체어석) : 좌석이 아닌,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을 의미합니다.
스테이지를 중심으로 왼쪽부터 가열, 나열, 다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열과 나열 사이, 나열과 다열 사이에 1층 출입구가 1개씩 배치되어 있습니다.
좌석 배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가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나열 1행 1~7번, 2행 8~15번, 3행 16~23번, 4행 24~33번, 5행 34~43번, 6행 44~54번 의 좌석이 있습니다. 7행은 장애인석(휠체어석)으로 최대 10대의 휠체어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열 1행 1~6번, 2행 7~13번, 3행 14~20번, 4행 21~27번, 5행 28~33번, 6행 34~38번의 좌석이 있습니다.
예매유의사항
예매방법
공연 예매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통해 이루어 집니다.
-
1
공연장선택
-
2
날짜/시간선택
-
3
좌석 선택
-
4
인원 및 할인선택
-
5
결제정보 입력
-
인터넷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공연 일자, 좌석 선택 결제방법 선택 후 결제 -
전화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카드결제 불가/현금 송금만 가능 -
방문 예매
예매마감시간
공연일 전일 18시까지예약방법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공휴일, 일요일 휴무)
예매취소 및 환불방법
예매방법 | 인터넷 예매 | 전화예매 | 방문예매 |
---|---|---|---|
취소방법 | 로그인 또는 본인인증 후, 마이페이지에서 취소 계좌 입금 시, 본인 명의 계좌번호 기재 |
국립국악원 대표번호 02-580-3300 예매자 본인 명의의 계좌번호로 일주일 이내 환불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내 고객지원팀 방문 (월~토 09:00~18:00/ 공휴일,일요일 휴무) 관람권(티켓) 지참 필수 |
취소변경 가능시간 |
공연 전일 18시까지 ※ 패키지 티켓: 패키지 첫 공연 시작 전날 18시까지 취소/환불 ※ 해당 시간 이후, 변경/취소/환불 불가 |
||
유의사항 |
- 환불 금액 입금은 영업일 기준 3~5일 정도 소요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