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227

    [곡명] 서도잡가

    【정의】평안도와 황해도 등지의 서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성악의 한 갈래. 【내용】 서도잡가는 경우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범주로 사용된다. 1. 서도민요 가운데 격이 낮은 잡스런 노래 2. 서도좌창 3. 서도좌창 및 서도입창 4. 가장 넓은 개념으로 민요 이외의 다양한 노

    작성일2014-11-16

  • 226

    [곡명] 산염불

    【정의】황해도의 대표적인 민요. 【이칭(異稱)】황해도 산염불, 해주산염불 【내용】 <산염불>은 느린 장단의 <긴염불>과 조금 빨라지는 <자진염불>의 두 가지를 잇대어 부른다. <산염불> 혹은 <염불>은 무가 및 불가로도 전승되는데,

    작성일2014-11-16

  • 225

    [곡명] 백구사

    【정의】조선 후기에 발달하여 전해 오는 전통 성악곡인 12가사 중의 한 곡. 【이칭(異稱)】원래의 가사가 “백구야 펄펄 나지 마라”로 시작되어 <백구가>라고도 하며, 현재는 “백구야 펄펄”은 탈락된 채 “나지 마라”로 시작됨. 【유래 및 역사】<백구사>는 육당본 [청

    작성일2014-11-16

  • 224

    [악기] 방향

    【정의】금속으로 만든 직사각형 모양의 소리편(片) 16개를 나무틀에 매달아 채로 쳐서 연주하는 타악기. 【이칭(異稱)】철로 만들었다 하여 철향이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방향은 중국 양(梁)나라에서 비롯된 악기로 구리를 사용하다가 후대에 철로 바꾸었으며, 돌로 만든 방향도 있었다고 한다.

    작성일2014-11-16

  • 223

    [곡명] 박연폭포

    【정의】경기도의 통속민요로 전승되고 있는 노래의 하나. 【이칭(異稱)】첫머리의 가사가 “박연폭포”로 시작해서 흔히 <박연폭포>라 부르며, 황해도의 <난봉가>의 후렴과 가사가 닮아 있다고 해서 <개성난봉가>라고도 함. 【내용】 <박연폭포>는 개성의

    작성일2014-11-16

  • 222

    [악기] 나발

    【정의】행렬 음악이나 군악 연주에 쓰이는 끝이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진 긴 대롱 모양의 관악기. 【이칭(異稱)】한자로 나팔(喇叭)로 적기도 하지만 나발이라고 함 【유래 및 역사】조선 전기의 문헌을 보면, 성종 11년(1480)에 왕이 처음 나발을 접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익히게 했다는 기록이

    작성일2014-11-16

  • 221

    [악기] 나각

    【정의】대형 소라 껍데기의 뾰족한 끝 부분을 갈아 취구(吹口)를 만들고, 김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이칭(異稱)】소라, 고동 【유래 및 역사】나각은 본디 서역 지방의 악기로 불교와 관련되어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시대부터 나각과 관련된 기록이 나타나는

    작성일2014-11-16

  • 220

    [곡명] 긴아리

    【정의】서도 메나리 계통의 소리로서, 평안도의 향토민요 가운데 비교적 널리 알려진 노래. 【이칭(異稱)】 기나리, 메나리, 감내기 【내용】<긴아리>는 평안도를 중심으로 서도 지역에서 불리던 노동요로서 논김이나 밭김, 추수와 탈곡, 초동의 나무하는 소리, 기타 유흥요 등으로 쓰

    작성일2014-11-16

  • 219

    [곡명] 긴난봉가

    【정의】황해도 지방을 대표하는 민요인 ‘난봉가’류 소리 가운데 가장 느린 악곡. 【유래 및 역사】<긴난봉가>는 20세기 초엽의 유성기 음반에 <중난봉가>라는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이보다 더욱 느린 악곡이 <원난봉가>로 녹음되어 있다. 즉, 오늘날의 &l

    작성일2014-11-16

  • 218

    [용어] 가사

    【정의】가사체로 된 산문시를 노래하는 갈래로서, 조선 후기 12곡의 틀로 형성된 성악곡. 【이칭(異稱)】문학 갈래인 가사(歌辭)와 구별하여 가사(歌詞)로 표기하며, 12곡으로 이루어졌다고 하여 12가사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가사가 언제 발생했는지 분명하지는 않지만 농암 이현보(1467~

    작성일2014-11-16

667건 (45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