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목록)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 187

    [용어] 아악

    【정의】고려 시대부터 연주되었던 궁중 제사 음악을 일컫는 말. 【유래 및 역사】고려의 사신 안직숭(安稷崇)은 송나라를 방문한 후 1114년에 송나라에서 새로운 악기를 가지고 돌아왔다. 이에 고려 예종은 송에 왕자지(王字之)와 문공미(文公美)를 하례사로 보냈고, 송의 휘종은 대성부에서 새로 정

    작성일2014-11-16

  • 186

    [용어] 이왕직아악부원양성소

    【정의】일제강점기에 아악생들에게 조선왕조의 음악 전통을 전승시키기 위하여 아악부 산하에 설립한 부설 음악교육기관. 【유래 및 역사】1919년 아악생 양성소 규정이 제정되어 1920년 4월 아악생 9명을 모집하여 교육을 시작한 것이 효시이다. 처음에는 3년 과정으로 1923년 제1기생이 졸업함과

    작성일2014-11-16

  • 185

    [용어] 퇴성

    【정의】본 음을 노래하거나 연주하면서 그 음의 끝을 끌어내리는 연주 기법 또는 창법을 일컫는 말. 【내용】한국 전통음악에서는 한 음을 연주하기 전이나 연주한 후에 본음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내려서 여운이나 여음의 시김새를 만드는데, 이 중에서 끌어내리는 연주 기법이나 창법을 말한다. 고악보

    작성일2014-11-16

  • 184

    [용어] 독주

    【정의】혼자 연주하거나 그 음악을 일컫는 말. 【유래 및 역사】조선 전기의 한국 전통음악은 독주보다는 합주 중심으로 이어져온 경향이 강해서 독주 음악은 이 중 한 부분을 떼 내어 연주하는 관습이 있다. 또한 기악 독주 음악은 1890년경 만들어진 산조인데, 한국 전통음악에서 발생되어 많이

    작성일2014-11-16

  • 183

    [용어] 가무악

    【정의】노래, 춤, 기악을 총칭하는 말. 【내용】한국 전통음악은 고대로부터 노래와 춤, 기악 등이 종합예술처럼 하나로 묶여서 연주되어 온 관습이 있다. 해방 이후의 대학 제도에서는 서구의 분과 학문 체제를 따라 음악대학, 무용대학으로 나뉘며, 음악대학 안에서도 기악과, 성악과 등이 별개로

    작성일2014-11-16

  • 182

    [용어] 선비음악

    【정의】조선 조 중기 이후 식자층에서 즐겼던 음악을 가름하는 말. 【유래 및 역사】조선 전기에는 왕권 강화를 위해 유교를 국가의 이념으로 삼았으며, 음악을 통치를 위한 기능적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즉 음악은 풍속을 변화시키고 백성들을 화합하기 위한 이념이었기 때문에, 모든 국가의례에는 반

    작성일2014-11-16

  • 181

    [용어] 연례악

    【정의】조선 시대 궁중 연향의식에서 연주되었던 음악의 갈래를 총칭하는 말. 【내용】조선조 전기 궁중의 모든 의식은 예와 악을 일치하여 유교의 이념을 행하고자 반드시 음악과 함께 진행하였다. 각종 제사에 쓰이는 음악을 ‘제례악’, 임금의 거동이나 군대의 행차와 관련된 음악을 ‘군례악’, 각종

    작성일2014-11-16

  • 180

    [용어] 엇모리장단

    【정의】판소리 등 민간 음악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내용】5박자 두 개가 하나의 장단을 이루는 10박 장단이며, 악센트는 8박에 있다. 그 5박자는 다시 3+2박의 혼합박 리듬꼴을 이루며, 이 리듬꼴은 3, 2, 3, 3, 2, 3의 6대강인 리듬형태가 2, 1, 2, 2, 1, 2형태

    작성일2014-11-16

  • 179

    [용어] 엇중모리장단

    【정의】판소리에 쓰이는 6박자 장단의 하나. 【내용】12박 한 장단인 중모리장단이 둘로 나누어져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장단 이름은 중모리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나, 장구 장단의 리듬 형태는 도드리장단과 유사한 점이 더 많다. 중모리장단의 9째 박에 악센트가 들어가는 것처럼 엇중모리장단

    작성일2014-11-16

  • 178

    [용어] 세산조시

    【정의】호남 우도 농악에 쓰이는 쇠가락의 하나. 또는 가야금 산조의 마지막 악장 이름. 【내용】세산조시는 매우 빠른 4박자 장단(♩?4)이다. 이는 가야금 산조에 쓰이는 휘모리나 단모리장단과 같은 것이며, 장르나 유파에 따라서 명칭을 달리 하고 있다.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에서는 농악에서와

    작성일2014-11-16

667건 (49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