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577

    [용어] 소리

    판소리 【정의】 한사람의 소리꾼이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추어 서사적인 이야기를 창(소리)과 아니리, 발림으로 연행하는 성악곡. 【내용】 판소리는 ‘판’과 ‘소리’가 합해진 말이며, ‘판에서 하는 소리’를 의미한다. 판소리의 판은 소리꾼과 고수, 청중이 있어야 만들어진다. 전통적

    작성일2014-11-16

  • 576

    [용어] 세요고

    장구 【정의】 국악 타악기 중의 하나 【이칭】 장고 【유래 및 역사】 외래 악기로서 고려 시대부터 우리나라에서 쓰임. 궁중 음악과 민간 음악에 두루 사용된다. 【내용】 악기를 만드는 여덟 가지 재료인 팔음 중

    작성일2014-11-16

  • 575

    [용어] 성주굿

    동해안별신굿 【정의】 동해안 지역 마을에서 일정한 주기로 행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가호로 지정됨.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당제, 또는 벨신·벨순·별손·배생이·뱃선 등으로 부르기도 함. 【내용】 동해안 별신굿은 마을의 풍요와 어민들이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도록 기원하

    작성일2014-11-16

  • 574

    [용어] 석전악

    문묘제례악 【정의】 제례악의 하나. 【유래 및 역사】 고려 예종 11년(1116)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 아악이 들어오면서 그 아악이 원구·사직·태묘·선잠·문묘 등의 여러 제사에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문묘 제례의 아악만 남았다. 【내용】 유학의 시조인 공자와 그 제자인 안자·증자·

    작성일2014-11-16

  • 573

    [용어] 석부

    팔음 【정의】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악기 분류법. 【내용】팔음은 악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쇠(金)ㆍ돌(石)ㆍ명주실(絲)ㆍ대나무(竹)ㆍ나무(木)ㆍ가죽(革)ㆍ바가지(匏)ㆍ흙(土) 여덟 가지 재료를 말한다. 이 여덟 가지 재료 중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아악기를 분류

    작성일2014-11-16

  • 572

    [용어] 서울경기민요

    경기민요 【정의】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인 서울·경기도 지방 전문 음악인들이 공연 종목으로 부르는 통속 민요. 【내용】 대부분의 노래가 5음음계 진경토리(평조)와 반경토리(계면조)로 구성되었고, 선율은 주로 순차진행하며, 소리를 깊게 떨지 않는 특징이 있다. 장단은 굿거리장단이나

    작성일2014-11-16

  • 571

    [용어] 생소병주

    병주 【정의】국악 기악곡 중 하나. 【내용】 두 개의 악기로 연주하는 형태를 말한다. 음색이 잘 어울리는 단소와생황의 병주인‘생소병주’가 가장 대표적이다. 가야금과 대금, 거문고와 피리, 양금과 단소 등 두 종류의 악기로 연주하는 것 모두 병주가 될 수 있다. 【필자】임미선

    작성일2014-11-16

  • 570

    [용어] 새납

    태평소 【정의】관대 끝에 깔때기 모양의 동팔랑이 달린 음량이 큰 관악기. 【이칭(異稱)】날라리, 호적(胡笛), 쇄납[??], 새납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 고유의 악기는 아니며 고려 시대 원나라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한다. 조선 시대에는 군대에서 군악에 주로 사용하였고, 『악

    작성일2014-11-16

  • 569

    [용어] 상주모내기/상주모심기

    상주모심기소리 【정의】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모심는 소리를 편곡한 곡. 【이칭(異稱)】공갈못노래, 채련요(採蓮謠), 모노래 【내용】경상북도 지방의 대표적 민요로,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13호 상주민요에 포함되어 있다. 모심기소리는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로 경상북도 현지에서

    작성일2014-11-16

  • 568

    [용어] 삼현영산회상

    관악영산회상 【정의】 관악기로 연주하는 영산회상. 【이칭(異稱)】 <<삼현영산회상>>, <<대풍류>>, 아명은 <<표정만방지곡>>. 【내용】 <<관악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작성일2014-11-16

667건 (10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