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547

    [용어] 문묘악

    문묘제례악 【정의】 제례악의 하나. 【유래 및 역사】 고려 예종 11년(1116)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 아악이 들어오면서 그 아악이 원구·사직·태묘·선잠·문묘 등의 여러 제사에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문묘 제례의 아악만 남았다. 【내용】 유학의 시조인 공자와 그 제자인

    작성일2014-11-16

  • 546

    [용어] 무역

    12율 【정의】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 중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가리키는 말. 【내용】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音)을 율(律)이라 하고,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은 한 옥타브를 12개로 나누었다는 점

    작성일2014-11-16

  • 545

    [용어] 무악

    무속음악 【정의】무당이 굿을 하면서 연행하는 음악. 【내용】무속음악은 지방에 따라 연행 예술의 모습이 다른데, 대개 서북 지방?서남 지방?동부 지방?제주도의 네 개의 무악권(巫樂圈)으로 묶을 수 있다. 무당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서북 지방의 굿은 신이 들려 무당이 되는 강신

    작성일2014-11-16

  • 544

    [용어] 무령지곡

    대취타 【정의】 이동식 고취악대 【유래 및 역사】 고구려 고분 벽화에 이동식 고취악대의 연주 모습이 보이므로 그 역사가 삼국시대까지 올라간다. 고려 시대에도 고취악대가 궁중에서 쓰였으며, 1593년에 편찬된 『악학궤범』에 전부고취와 후부고취의 악대 명칭이 전한다. 어가의

    작성일2014-11-16

  • 543

    [용어] 목부

    팔음 【정의】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악기 분류법. 【내용】팔음은 악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쇠(金)ㆍ돌(石)ㆍ명주실(絲)ㆍ대나무(竹)ㆍ나무(木)ㆍ가죽(革)ㆍ바가지(匏)ㆍ흙(土) 여덟 가지 재료를 말한다. 이 여덟 가지 재료 중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아악기를 분류하

    작성일2014-11-16

  • 542

    [용어] 메나리토리권 민요

    동부민요 【정의】 경상도·강원도·함경도 등 한반도 동부 지역 민요를 가리키는 말. 【내용】 이 지역에 전승되는 다양한 향토 민요(토속 민요)는 대부분 상행 선율은 미·라·도·레·미, 하행 선율은 미·레·도·라·솔·미로 상하행이 서로 다른 5음 음계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

    작성일2014-11-16

  • 541

    [용어] 메나리토리

    메나리조 【정의】 한반도 동부 지역 민요의 음악적인 특징을 가리키는 용어. 【내용】 ‘메나리토리’라고도 한다. 구성음은 상행 선율에서는미·라·도·레·미이며, 하행 선율에서는 미·레·도·라·솔·미이다. 선율의 골격음은 미·라·도의 3음이며, 레는 도의 장식음처럼 쓰이는

    작성일2014-11-16

  • 540

    [용어] 메기는형식

    메기고받는소리 【정의】 가창 방식의 하나. 【내용】 주로 민요를 부를 때의 가창 방식으로 소리를 주고받는 교환창의 형태이다.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일정한 부분을 소리하면 여러사람들이 제창한다.유절 형식으로 된 민요들 특히 일노래(노동요)에서 많이 불리는 형태이다. 대부분

    작성일2014-11-16

  • 539

    [용어] 메기고받는형식

    메기고받는소리 【정의】 가창 방식의 하나. 【내용】 주로 민요를 부를 때의 가창 방식으로 소리를 주고받는 교환창의 형태이다.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일정한 부분을 소리하면 여러사람들이 제창한다.유절 형식으로 된 민요들 특히 일노래(노동요)에서 많이 불리는 형태이다. 대부분

    작성일2014-11-16

  • 538

    [용어] 매화점

    소리북 【정의】판소리에서 고수가 창자의 소리에 맞추어 장단을 칠 때 사용하는 북. 【이칭(異稱)】고장북, 백(白)북 【유래 및 역사】판소리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남부 지방에서는 백(白)북을 주로 사용하였고, 중부 지방에서는 단청(丹靑)북을 많이 썼다고

    작성일2014-11-16

667건 (13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