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517

    [용어] 남려

    12율 【정의】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 중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가리키는 말. 【내용】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音)을 율(律)이라 하고,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은 한 옥타브를 12개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서양

    작성일2014-11-16

  • 516

    [용어] 나비춤

    작법 【정의】이른바 불교 무용으로, 절에서 재를 올릴 때 추는 모든 춤. 【이칭】착복 【유래 및 역사】언제 형성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몽고의 종교의식인 ‘참’의 춤과 연관성이 제기된 바 있어 오랜 역사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 【내용】작법은 불교 의식무로, 부처님께 올

    작성일2014-11-16

  • 515

    [용어] 나물타령

    나물노래 【정의】 나물을 가사로 하여 부른 노래. 가자가자요의 곡조와 가사에 새로운 가사를 붙인 것.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등 여러 지방에서 노랫말을 달리해서 널리 불림. 【내용】 ‘가자가자 감나무, 오자오자 옻나무’로 시작하는 가사는 전국적으로 널리 불린

    작성일2014-11-16

  • 514

    [용어] 해남풍장소리

    길꼬냉이 【정의】진도 지방에서 농사를 지을 때 부르는 들노래. 【이칭(異稱)】길군악, 질꼬내기, 길꼬내기, 질꾸내기, 질꾸래기, 질꼬래기, 질꼬냉이, 길노래, 제화소리, 장원질소리, 풍장소리 【유래 및 역사】진도 지방에서 오랜 세월 농사를 지으며 불러왔던 들노래는 1973년 남도

    작성일2014-11-16

  • 513

    [용어] 길군악칠채장단

    사물놀이 【정의】 꽹과리·징·장구·북의 네 가지 타악기로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키는 말. 【내용】 본래 ‘사물(四物)’이란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악기인 법고(法鼓)·운판(雲板)·목어(木魚)·범종(梵鐘)의 네 가지 악기를 가리키던 말이었으나,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

    작성일2014-11-16

  • 512

    [용어] 긴아리랑

    아리랑 【정의】 ‘아리랑’이나 ‘아라리’ 또는 이들 어휘의 변이를 노래의 후렴에 넣어 부르는 민요의 통칭. 【내용】 우리나라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아리랑 계통 노래가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아리랑’이라 하면 1926년 나운규 감독이 제작한 영화‘아리랑’의 주제

    작성일2014-11-16

  • 511

    [용어] 긴삼채가락

    삼채장단 【정의】농악에서 사용하는 장단의 하나. 【내용】삼채는 농악에서 사용하는 장단의 하나로 ‘삼’은 한 장단 내에서 징을 치는 점수를 말하며, ‘채’는 ‘징채’의 채로서 치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삼채’는 징을 세 번 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삼채에는 속도에 따라서 긴 삼채와

    작성일2014-11-16

  • 510

    [용어] 금부

    팔음 【정의】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사용된 전통적인 악기 분류법. 【내용】팔음은 악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쇠(金)ㆍ돌(石)ㆍ명주실(絲)ㆍ대나무(竹)ㆍ나무(木)ㆍ가죽(革)ㆍ바가지(匏)ㆍ흙(土) 여덟 가지 재료를 말한다. 이 여덟 가지 재료 중에 주로 사용되는 것을 중심으로 아악기를 분류하

    작성일2014-11-16

  • 509

    [용어] 관악보허자

    보허자 【정의】 고려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詞樂) 중에 한 곡으로 <관악보허자>와 <현악보허자>가 있음. 【이칭(異稱)】 <관악보허자>의 아명은 <장춘불로지곡>이고, <현악보허자>의 아명은 <황하청>임. <

    작성일2014-11-16

  • 508

    [용어] 고장북

    소리북 【정의】판소리에서 고수가 창자의 소리에 맞추어 장단을 칠 때 사용하는 북. 【이칭(異稱)】고장북, 백(白)북 【유래 및 역사】판소리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남부 지방에서는 백(白)북을 주로 사용하였고, 중부 지방에서는 단청(丹靑)북을 많이 썼다고

    작성일2014-11-16

667건 (16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