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487

    [용어] 조선정악전습소

    【정의】정악의 보존과 보급을 위해 조직된 음악교육기관. 【유래 및 역사】1911년 조양구락부(調陽俱樂部)의 후신으로 만들어졌다. 조선시대의 기로소(耆老所)로 썼던 곳에 있다가 재동의 일가정(一可亭)으로 옮겼고 1915년에 다시 수송동으로 옮겨 활동하였다. 2차대전 무렵인 1944년 경에는

    작성일2014-11-16

  • 486

    [용어] 제례악

    【정의】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 【유래 및 역사】[예기]에서는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 즉 ‘삼중(三重)’으로 헌(獻)과 성(聲), 무(舞)를 들었다. ‘헌’이란 땅에 붓는 향기로운 술을 말하고 ‘성’이란 당상(堂上)에서 연주하는 노래를 말하며 ‘무’란 주나라 무왕이 주왕을

    작성일2014-11-16

  • 485

    [용어] 전폐

    【정의】제사에서 폐백을 올리는 일. 【유래 및 역사】전폐(奠幣)란 각종 제사 의례에서 헌관이 신위(神位) 앞에 미리 준비한 예물인 폐백(幣帛)을 올리는 행위를 말한다. 폐백의 내용은 제사 대상이나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세종실록오례]에 기록된 폐백의 제도는 길이가 조례기척(造禮器尺)으로 1장(

    작성일2014-11-16

  • 484

    [용어] 전악서

    【정의】조선을 건국한 해에 설치된 국가 음악기관의 하나. 【유래 및 역사】 전악서(典樂署)는 조선을 건국한 1392년(태조 1) 7월 조선의 관제를 선포할 때 아악서(雅樂署)와 함께 설립된 음악기관이다. 전악서가 처음 설립된 것은 고려조 1308년(충렬왕 34/충선왕 원년)의 일이었는데 이

    작성일2014-11-16

  • 483

    [용어] 음성서

    【정의】신라시대의 왕립 음악기관. 【유래 및 역사】 음성서(音聲署)는 7세기 중엽에 예부(禮部)의 독립기관으로 설립되어 음악행정과 교육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였다. 처음에 음성서라 했는데 경덕왕(742-764) 때 대악감(大樂監)으로 바꾸었다가 혜공왕(765-779) 때 다시 음성서라는 명칭

    작성일2014-11-16

  • 482

    [인명] 우륵

    【정의】대가야국 출신으로 신라에 가야금의 도를 전승한 악사. 【내용】우륵(于勒)은 대가야국 성열현(省熱縣) 출신 악사이다. 가야국 시절에 가실왕의 명을 받아 왕이 제작한 가야금으로 열두 곡을 작곡한 인물이다. 우륵이 작곡한 열 두 곡은 하가라도(下加羅都)·상가라도(上加羅都)·보기(寶伎)·달기(

    작성일2014-11-16

  • 481

    [인명] 왕산악

    【정의】고구려인으로 거문고를 만든 사람. 【내용】왕산악의 생몰연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가 거문고를 만든 이야기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악지(樂志)]에 전하고 있다. [삼국사기]의 내용을 보면, 진나라에서 일곱 줄로 된 칠현금(七絃琴)을 고구려에 보내 왔는데, 고구려 사람들은 그것

    작성일2014-11-16

  • 480

    [용어] 악장

    【정의】조선시대에 공식적인 국가의례에서 기악 반주에 맞추어 불려진 노래. 【내용】유교를 국시(國是)로 건립한 조선은 예악정치를 구현하고자 하여 국가의 공식 의례에서도 음악을 반드시 수반하도록 했다. 건국 초기 정도전, 하륜 등의 개국공신은 <납씨가>, <궁수분곡>, <

    작성일2014-11-16

  • 479

    [용어] 악기도감

    【정의】조선시대에 악기 제작을 위해 설립된 임시 기구. 【이칭(異稱)】 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 【유래 및 역사】악기도감(樂器都監)이란 명칭에 보이는 ‘도감’이란 국가의 상설 기구에 대비되는 임시관청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목적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다. 궁궐을 새로 짓

    작성일2014-11-16

  • 478

    [용어] 아악서

    【정의】조선을 건국한 해에 제례아악 연주를 위해 설치된 국가 음악기관의 하나. 【유래 및 역사】아악서(雅樂署)는 조선을 건국한 1392년(태조 1) 7월 조선의 관제를 선포할 때 전악서(典樂署)와 함께 설립된 음악기관이다. 아악서가 처음 설립된 것은 고려조 1391년(공양왕 3)의 일이었는데

    작성일2014-11-16

667건 (19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