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627

    [용어] 종헌

    종묘제례악 【정의】 조선 역대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종묘에서 제사할 때의 연주 악곡. 【유래 및 역사】 조선 왕실에서 중요한 다섯 갈래의 의례 중 길례(제사)에 속하는 의례로서 조선 역대 왕과 왕비에게 제사를지낼 때에 연주된 음악이다. 종묘에 제사할 때에 음악과 일무(

    작성일2014-11-16

  • 626

    [용어] 제례음악

    제례악 【정의】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음악. 【유래 및 역사】[예기]에서는 제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세 가지 즉 ‘삼중(三重)’으로 헌(獻)과 성(聲), 무(舞)를 들었다. ‘헌’이란 땅에 붓는 향기로운 술을 말하고 ‘성’이란 당상(堂上)에서 연주하는 노래를 말하며 ‘무’란

    작성일2014-11-16

  • 625

    [용어] 정읍/정읍사

    수제천 【정의】 조선 시대 궁중 의식에서 연주되던 향악 곡의 하나. 【내용】 ‘정읍’ 또는 ‘빗가락 정읍’이란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악학궤범』에서는 이 수제천이 궁중 무용의 하나인 무고의 반주로 사용되었다고 전하는데 이 때 노래가 함께불렸고, 그 가사는‘정읍사’였다고

    작성일2014-11-16

  • 624

    [용어] 정악가야금

    가야금 【정의】 국악기 중 현악기의 하나. 【유래 및 역사】 『삼국사기』에 가실왕이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가야금을 만들었다고 전한다. 가실왕이 가야금을 만들고 가야국의 음악 11곡을 우륵에게 짓도록 하였다. 가야국이 어지러워지자 우륵은 신라로 망명하여 제자들에게 가야금의 악곡과

    작성일2014-11-16

  • 623

    [용어] 정선아라리

    정선아리랑 【정의】 강원도 정선 지방에 전승되는 향토 민요를 바탕으로경기 명창들이 세련되게 다듬어 부르는 통속 민요의 하나. 【내용】 본래 정선을 비롯한 강원도 지방에는 느리게 부르는‘긴 아라리’와 조금 빠르게 사설을 엮어 부르는‘엮음 아라리’가 전승되는데, 오늘날 경기 명

    작성일2014-11-16

  • 622

    [용어] 전라도민요조

    남도민요 【정의】 남도 지방 즉 전라도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민요를 가리키는 말. 【내용】 남도 민요는 전문가들이 부르는 통속 민요의 대부분이 육자백이토리로 구성되었으며, 향토 민요에도 육자백이토리로 된 노래가 많다.‘진도 아리랑’·‘강강술래’등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쾌지나

    작성일2014-11-16

  • 621

    [용어] 전라도민요

    남도민요 【정의】 남도 지방 즉 전라도를 중심으로 전승되는 민요를 가리키는 말. 【내용】 남도 민요는 전문가들이 부르는 통속 민요의 대부분이 육자백이토리로 구성되었으며, 향토 민요에도 육자백이토리로 된 노래가 많다.‘진도 아리랑’·‘강강술래’등이 대표적이며, 최근에는‘쾌지나

    작성일2014-11-16

  • 620

    [용어] 적벽대전

    적벽가 【정의】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가운데 적벽대전 부분과 그앞뒤의 이야기를 판소리로 짰기 때문에 적벽가라고도하고, 적벽싸움에서 조조가 패하여 도망가던 길의 이름을 따서‘화용도’라고 부르기도함. 【내용】 중국 위나라, 한나라, 오나라의 삼

    작성일2014-11-16

  • 619

    [용어] 장생보연지무

    당악정재 【정의】고려시대 송나라의 교방악에서 유래한 궁중무용. 【유래 및 역사】당악(唐樂)은 당나라의 음악을 뜻하기도 하며, 송나라의 교방악(敎坊樂) 역시 당악으로 불렀다. 당악과 마찬가지로 정재도 송나라에서 들어왔지만 ‘송나라정재’라 하지 않고 ‘당악정재(唐樂呈才)’라 하였다.

    작성일2014-11-16

  • 618

    [용어] 자진호미타령

    호미타령 【정의】호미로 김을 매면서 부르는 서도민요 중의 한 곡 【내용】서도 지방에서 호미로 김을 매면서 부르는 김매기소리에 굿거리장단 빠르기로 부르는 <호미가>가 있고 중모리-자진 타령-볶는타령-당악 장단으로 점점 빠르게 이어 부르는 <호미타령>이 있다. 느린

    작성일2014-11-16

667건 (5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