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617

    [용어] 자진아라리

    아리랑 【정의】 ‘아리랑’이나 ‘아라리’ 또는 이들 어휘의 변이를 노래의 후렴에 넣어 부르는 민요의 통칭. 【내용】 우리나라에는 지역에 따라 다양한 아리랑 계통 노래가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아리랑’이라 하면 1926년 나운규 감독이 제작한 영화‘아리랑’의 주제 음악

    작성일2014-11-16

  • 616

    [용어] 자진삼채가락

    삼채장단 【정의】농악에서 사용하는 장단의 하나. 【내용】삼채는 농악에서 사용하는 장단의 하나로 ‘삼’은 한 장단 내에서 징을 치는 점수를 말하며, ‘채’는 ‘징채’의 채로서 치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삼채’는 징을 세 번 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삼채에는 속도에 따라서 긴 삼채와 자진삼

    작성일2014-11-16

  • 615

    [용어] 자진사랑가

    사랑가 【정의】판소리 춘향가 중 이 도령과 춘향의 사랑 놀음을 노래한 대목. 【유래 및 역사】사랑가 중 ‘만첩청산 늙은 범이’로 시작되는 <긴사랑가>는 조선 후기 순조 때의 명창인 송광록의 더늠이고, <자진사랑가>는 순조와 철종 때의 명창인 고수관의 더늠이다. 더늠

    작성일2014-11-16

  • 614

    [용어] 자진뱃노래

    뱃노래 【정의】노 젓는 소리를 내용으로 부르는 경상도 민요. 【유래 및 역사】경기소리 명창 이창배에 의하면 뱃노래는 동해 바다에서 점차 남해 바다로 옮겨졌으며 원래 후렴이 ‘에야누 야누야’라고 했던 것을 이창배가 '어기야 디야차‘ 라고 고쳐놓았다고 한다. 이는 일본 사람들과 같은 동해에

    작성일2014-11-16

  • 613

    [용어] 자진농부가

    농부가 【정의】 판소리‘춘향가’에서 암행어사가 된 이도령이 호남 지방으로 내려오는 도중에 만난농부들이 모내기하며 부른 노래. 【내용】 본래 호남 지방 모내기 소리인 ‘상사소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 노래는 판소리에서 독립하여‘농부가’라는 이름으로 민요처럼 불리기도 한다.

    작성일2014-11-16

  • 612

    [용어] 자진강강술래

    강강술래 【정의】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와 도서 지방에 널리 분포 전승되고 있는 집단 놀이. 중요무형문화재 8호로 지정되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의 무형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음. 【내용】 강강술래는 고대의 원시적인 춤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래 풍요 기원의 제의적 성격이 강하

    작성일2014-11-16

  • 611

    [용어] 임종

    12율 【정의】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 중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가리키는 말. 【내용】우리나라 전통음악에 사용되는 음(音)을 율(律)이라 하고, 한 옥타브 안에 배열되는 12개의 음을 12율이라 한다. 12율은 한 옥타브를 12개로 나누었다는 점에서 서양음

    작성일2014-11-16

  • 610

    [용어] 일노래

    노동요 【정의】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 【이칭】일노래, 작업요 【유래 및 역사】노동요는 우리 민족이 한반도에 정착할 때부터 존재했다. 19세기 말, 조선을 방문했던 미국인 역사학자이자 선교사였던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의 저서인 ??The Passin

    작성일2014-11-16

  • 609

    [용어] 일고수이명창

    고수 【정의】음악을 연주할 때 북[鼓]이나 장구를 치는 사람. 【이칭】북잽이, 북재비 【유래 및 역사】고수가 언제부터 존재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전통음악에 북 반주가 함께 했다는 것은 옛 악보를 통해 짐작할 수 있기 때문에 고수의 역사가 매우 오래된 것을 알 수 있다. 17~

    작성일2014-11-16

  • 608

    [용어] 인도소리

    범패 【정의】 영산재와 같은 불교 의식을 행할 때에 범패승들이 부르는 성악곡. 【이칭(異稱)】 범음·인도소리·어산 <영산재에서 범패를 부르는 모습> 【유래 및 역사】 신라 때에 원효가 불교의 포교를 위해 거사 소리를 불렀다고 전하는데

    작성일2014-11-16

667건 (6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