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57

    [용어] 가곡

    가곡

    【정의】 우리나라 전통 성악곡으로 시조를 관현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는 악곡. 【내용】 가곡의 유래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려가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형성 시기 또한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고악보 중 가곡의 악보가 『금합자보』(1572)에 처음 등장하는 점으로 미루어 늦어도 16세기 중엽에 가곡이 불렸음을 알 수 있다. 가곡의 원형은 만대엽· ...

    작성일2014-11-16

  • 56

    [용어] 훨훨이

    훨훨이

    【정의】 경기도의논매는 소리 가운데 하나. 논매기의 끝에 새 쫒는 소리인 훨훨이를 불러 일을 마침. 【내용】 경기도 고양시 송포면에 전승되는 호미씻이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2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넋두리, 긴소리, 사두여, 양산도, 방아타령, 놀놀이, 자진방아타령, 상사도야, 잦은놀놀이, 우야훨훨, 몸돌소리 등을 논맬 때 부른다. 논에서 논매기가 끝나갈 무렵, 일렬로 서서 일 ...

    작성일2014-11-16

  • 55

    [용어] 가래질소리

    가래질소리

    【정의】 가래질을 하며 부르는 소리. 가래소리라고도함.교과서에 소개된 곡은 강원도에 전승되는 노래. 【내용】 가래는 물건을 퍼서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육지에서는 흙을 퍼 올리는 농기구의 이름이지만 바다에서는 고기를 퍼 담는 도구의 이름이다. 보통 세 사람이 함께 일을 하는데, 한 사람이 가랫자루를 잡고, 나머지 두 사람이 가래에 연결한 끈을 잡아 당겨 가래질 ...

    작성일2014-11-16

  • 54

    [용어] 산아지타령

    산아지타령

    【정의】 전라남도에 전승되는 민요. 받는소리에 ‘산아지로구나’라는 가사가 있기 때문에 산아지타령이라고 부르며, 현지 주민들은 ‘에야디야’라는 제목으로 부르고 있음. 【내용】 전남의 동부 산악 지역인 승주, 광양, 곡성 일대에서 논매기소리로 불리며, 여타 전남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부녀자들의 유희요로 불린다. 전남의 농요권은 논매는 소리에 의해 전남 서부 지역의 긴소리권과 ...

    작성일2014-11-16

  • 53

    [용어] 거문도 뱃노래

    거문도 뱃노래

    【정의】 전라남도 여천군 삼산면 거문도 일대에서 멸치잡이를 할 때부르는 일노래. 1972년 전라남도 지방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됨. 【내용】 거문도 뱃노래는 술비소리,늦은놋소리,자진놋소리,올래소리,가래소리,썰소리,어영차소리 등으로 구성된다. 교과서에는 이 가운데 늦은놋소리, 즉 느린노 젓는 소리만을 거문도 뱃노래라 하여 수록하고 있다. ‘미,라,시,도,레,미’의 음역이 ...

    작성일2014-11-16

  • 52

    [] 풍물놀이

    【정의】 마을 공동체의 제사나 행진, 판놀음에서 꽹과리, 징, 장구, 북,소고 등의 악기 연주와 잡색의 연희가 어우러지는 음악. 지역이나 기능에 따라 ‘지신밟기’, ‘마당밟이’, ‘매구’, ‘굿’, ‘매굿’, ‘풍물굿’, ‘풍장굿’, ‘두레굿’, ‘걸궁’, ‘걸립’, ‘농악’ 등으로 불림

    작성일2014-11-16

  • 51

    [용어] 지신밟기

    【정의】 마을의 각 가정을 돌아다니며 풍물놀이를 연주하여 액을 물리치고 명과 복을 빌어주는 의례. 【내용】 ‘마을굿(당굿, 당산굿)’을 마친 후‘길굿’을 연주하여 행진하다가 지신밟기를 할 집 앞에 도착하면‘문굿’을 연주한다. 상쇠는 풍물놀이패를 이끌고 마당으로 들어와 원을 그려

    작성일2014-11-16

  • 50

    [용어] 별달거리

    【정의】 사물놀이 영남 가락에서 연주되는 가락명. 말장단 가사의 첫 부분에 별과 달이 나오기 때문에 이 장단을 ‘별달거리’라 부름. 【내용】 2소박 4박의 단모리형 장단으로 매우 빠르게 연주된다.앞부분의 가락이 조금 다른 2개의 장단을 연결하여 연주하는 암?수 장단형이다. 장단 연주

    작성일2014-11-16

  • 49

    [용어] 동해안별신굿

    【정의】 동해안 지역 마을에서 일정한 주기로 행하는 마을굿. 중요무형문화재 제82-가호로 지정됨.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당제, 또는 벨신·벨순·별손·배생이·뱃선 등으로 부르기도 함. 【내용】 동해안 별신굿은 마을의 풍요와 어민들이 고기를 많이 잡을 수 있도록 기원하는 마을굿으로

    작성일2014-11-16

  • 48

    [] 상여소리

    【정의】 상여를 들고 행진하면서 부르는 노래. 향도가, 향두가, 상두가, 상부소리라고도 함. 【내용】 상여소리의 주 내용은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면서 산 사람에게는 액이 들지 말고 복만 들기를 기원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또한 이별의 슬픔과 영원한 삶에 대한 소망도 담겨

    작성일2014-11-16

667건 (62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