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597

    [용어] 오양선

    당악정재 【정의】고려시대 송나라의 교방악에서 유래한 궁중무용. 【유래 및 역사】당악(唐樂)은 당나라의 음악을 뜻하기도 하며, 송나라의 교방악(敎坊樂) 역시 당악으로 불렀다. 당악과 마찬가지로 정재도 송나라에서 들어왔지만 ‘송나라정재’라 하지 않고 ‘당악정재(唐樂呈才)’라 하였다.

    작성일2014-11-16

  • 596

    [용어] 영신

    희문 【정의】 종묘 제례악 중의 하나. 【유래 및 역사】 종묘 제례악 보태평 11곡 중 첫 번째 곡이다. 희문을 포함한 보태평은 문덕을 칭송하는 음악인데 비해, 정대업은 무공을 기리는 음악이다.보태평은 정대업과 함께 세종대에 궁중의 연향악으로 쓰기 위해 만들었던 음악이었으나,

    작성일2014-11-16

  • 595

    [용어] 영남놀이가락

    풍물놀이 【정의】 마을 공동체의 제사나 행진, 판놀음에서 꽹과리, 징, 장구, 북,소고 등의 악기 연주와 잡색의 연희가 어우러지는 음악. 지역이나 기능에 따라 ‘지신밟기’, ‘마당밟이’, ‘매구’, ‘굿’, ‘매굿’, ‘풍물굿’, ‘풍장굿’, ‘두레굿’, ‘걸궁’, ‘걸립’

    작성일2014-11-16

  • 594

    [용어] 영기

    풍물놀이 【정의】 마을 공동체의 제사나 행진, 판놀음에서 꽹과리, 징, 장구, 북,소고 등의 악기 연주와 잡색의 연희가 어우러지는 음악. 지역이나 기능에 따라 ‘지신밟기’, ‘마당밟이’, ‘매구’, ‘굿’, ‘매굿’, ‘풍물굿’, ‘풍장굿’, ‘두레굿’, ‘걸궁’, ‘걸립’, ‘농악’

    작성일2014-11-16

  • 593

    [용어] 열채

    장구채 【정의】타악기인 장구를 치는 채. 【내용】궁중음악 및 노래 반주로 장구를 칠 때 대나무를 가늘게 깎아 만든 장구채를 오른손에 쥐고 장구의 채편 복판이나 변죽을 친다. 장구채는 특별한 명칭 없이 ‘채’ 또는 ‘장구채’라고 한다. 장구채의 모양과 규격은 개인적 취향에 따라 달라

    작성일2014-11-16

  • 592

    [용어] 연음형식

    연음 【정의】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악곡에서 선율을 전개하는 독특한 연주 기법의 하나. 【내용】 궁중 음악인‘수제천’·‘동동’·‘관악영산회상 상영산’·‘해령’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관악기들이 함께 연주하다가 선율 단락의 끝부분에서 음량이 큰 피리가 쉬는 사이에,

    작성일2014-11-16

  • 591

    [용어] 연음방식

    연음 【정의】 관악기가 중심이 되어 연주하는 악곡에서 선율을 전개하는 독특한 연주 기법의 하나. 【내용】 궁중 음악인‘수제천’·‘동동’·‘관악영산회상 상영산’·‘해령’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관악기들이 함께 연주하다가 선율 단락의 끝부분에서 음량이 큰 피리가 쉬는 사이에,

    작성일2014-11-16

  • 590

    [용어] 엮음수심가

    수심가 【정의】 서도 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내용】 사랑하는 님에 대한 그리움을 주로 노래한다. 이 지방 전문 음악인들인 ‘서도 명창’들의 주된 공연 종목인 서도잡가의 대부분이 악곡을 마칠 때수심가 한 절을 부르는 점으로 보아 서도지방 노래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노래

    작성일2014-11-16

  • 589

    [용어] 어산

    범패 【정의】 영산재와 같은 불교 의식을 행할 때에 범패승들이 부르는 성악곡. 【이칭(異稱)】 범음·인도소리·어산 <영산재에서 범패를 부르는 모습> 【유래 및 역사】 신라 때에 원효가 불교의 포교를 위해 거사 소리를 불렀다고 전하는데

    작성일2014-11-16

  • 588

    [용어] 어름

    남사당놀이 【정의】 유랑예인 집단인 사당패가 각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연행했던 놀이. 【내용】 남사당놀이는 6종목으로 풍물·버나(접시돌리기)·살판(땅재주)·어름(줄타기)·덧뵈기(탈놀음)·덜미의 순서로 진행된다. 【필자】임미선

    작성일2014-11-16

667건 (8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