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437

    [용어] 도드리장단

    도드리장단

    【정의】 6박으로 이루어진 도드리 계통의 음악에 사용되는 장단. 【유래 및 역사】 악보로 기록되어 있는 악곡 중에서 1800년경에 편찬된 ??유예지??의 <대현환입>은 도드리장단으로 연주한 최초의 악곡이다. 【내용】도드리장단은 정악과 민속악에서 두루 사용되는 장단이다. 정악 중에서 <<영산회상>>의 악곡 중에 포함 되어있는 <삼현도드리>와 ...

    작성일2014-11-16

  • 436

    [곡명] 보허자

    【정의】 고려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詞樂) 중에 한 곡으로 <관악보허자>와 <현악보허자>가 있음. 【이칭(異稱)】 <관악보허자>의 아명은 <장춘불로지곡>이고, <현악보허자>의 아명은 <황하청>임. <관악보허자>

    작성일2014-11-16

  • 435

    [용어] 도드리

    【정의】 보허자의 환입 선율에 보허자의 환두 선율을 잇대어 연주하는 것을 변주한 악곡. 【이칭(異稱)】 <미환입>, 아명은 <수연장지곡>. 도드리를 한 옥타브 올려서 변주한 <웃도드리>가 파생한 후에 <밑도드리>라고 부르기도 함. 【유래 및 역

    작성일2014-11-16

  • 434

    [용어] 낙양춘

    【정의】고려 때 송나라에서 들어온 사악(詞樂) 중 한곡. 【이칭(異稱)】<하운봉>, 아명은 <기수영창지곡>. 【유래 및 역사】[고려사]악지에 <낙양춘>의 가사가 전하며, 미전사와 미후사로 구분되어 있다. [속악원보]권4와 [속악원보]권6에 가사가 없는 악보

    작성일2014-11-16

  • 433

    [용어] 군악

    【정의】 <<영산회상>>.과 <<평조회상>> 및 <<관악영산회상>>의 마지막 악곡. 【이칭(異稱)】<군악타령>, <우조타령> 【유래 및 역사】 <가락더리>는 1800년경에 편찬된 [유예지]에

    작성일2014-11-16

  • 432

    [용어] 관악합주

    【정의】관악기로 편성된 합주 형태. 【이칭(異稱)】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는 대풍류라고 함. 【내용】 관악합주는 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와 당피리 중심이 관악합주로 구분한다. 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는 기본적으로 삼현육각 즉 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좌고1로 편성하는 형태이다. 삼

    작성일2014-11-16

  • 431

    [용어] 관악영산회상

    【정의】 관악기로 연주하는 영산회상. 【이칭(異稱)】 <<삼현영산회상>>, <<대풍류>>, 아명은 <<표정만방지곡>>. 【내용】 <<관악영산회상>>은 <상령산>, <중령산>, <

    작성일2014-11-16

  • 430

    [용어] 계면가락도드리

    【정의】 <천년만세>의 첫 번째 악곡. 【이칭(異稱)】 <계면가락환입> 【유래 및 역사】 <계면가락도드리>는 1841년에 편찬된 [삼죽금보]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삼죽금보]에 보이는 <계면가락도드리>의 이름은 <계면가락제이>(界面加樂

    작성일2014-11-16

  • 429

    [용어] 가락더리

    【정의】 <<영산회상>>과 <<평조회상>> 및 <<관악영산회상>>의 네 번째 악곡. 【이칭(異稱)】<가락덜이>, <가락가리(嘉樂加里)>, <가락제지(加樂除只)>, <가락제이(加樂除耳)>

    작성일2014-11-16

  • 428

    [곡명] 허튼타령

    【정의】1. 무용, 탈춤 반주 음악의 하나. 2. 경기 무속 춤 반주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 【이칭(異稱)】탈춤 반주 음악일 경우 ‘허튼가락’이라고도 함. 【내용】1. 무용, 탈춤 반주 음악에 쓰이는 <염불타령>을 구성하는 악곡 중의 하나이다. 장단은 일반 타령과 같으나 조금

    작성일2014-11-16

667건 (24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