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417

    [곡명] 염불타령

    【정의】삼현육각 편성으로 연주되는 무용, 탈춤의 반주음악. 【이칭(異稱)】관악염불, 헌천수 【유래 및 역사】본래 ‘염불’이란 불가(佛家)의 성악곡을 말하지만, 영산회상 중 <염불환입(염불도드리)>, 삼현육각으로 연주되는 <긴염불>, <반염불> 등과 같은 기악곡

    작성일2014-11-16

  • 416

    [용어] 세악

    【정의】소규모 편성의 연주 형태 또는 그 편성으로 연주되는 음악. 【내용】거문고ㆍ가야금ㆍ양금ㆍ세피리ㆍ대금ㆍ해금ㆍ단소ㆍ장구 등의 악기 가운데 5가지 정도의 악기로 편성되는 소규모의 합주를 말한다. 세악 편성에 의한 음악으로는 영산회상ㆍ별곡ㆍ웃도드리 등이 있다. 【필자】임미선

    작성일2014-11-16

  • 415

    [용어] 선소리꾼

    【정의】선소리(입창)을 전문으로 부르는 소리꾼. 【내용】메기고 받는 형식의 민요나 농요에서 반복 구절인 받는소리를 제외한 사설부분을 독창 혹은 중창으로 부르는 사람 【필자】임미선

    작성일2014-11-16

  • 414

    [용어] 선소리

    【정의】잡가의 하나 【이칭(異稱)】선소리 산타령, 입창(立唱) 【내용】잡가의 하나로 여러 소리꾼들이 늘어서서 장구를 멘 사람이 앞소리를 메기면 소고를 든 사람들이 소리를 받는 입창(立唱)을 말한다. 선소리산타령은 본래 사당패 소리였으나, 후대에 선소리패에 의해 그 지방에 맞는 형식과 특

    작성일2014-11-16

  • 413

    [용어] 삼현육각

    삼현육각

    【정의】악기 편성의 명칭 【이칭(異稱)】육잡이, 육잽이 【유래 및 역사】오늘날과 같은 악기 편성의 삼현육각은 조선 후기 18세기 무렵 등장하는데, 단원 김홍도가 그린 무동(舞童)에 그 형태가 보인다. 삼현육각은 관아의 연향, 지방 향교의 제향, 굿 의식, 사가의연향, 가무의 반주, 귀인의 행차, 민속극(인형극, 가면극, 탈춤)의 반주 음악으로도 쓰였다. 삼현육각의 연주 전통은 20세기 ...

    작성일2014-11-16

  • 412

    [용어] 삼현삼죽

    【정의】통일신라 때 향악에 쓰인 대표적인 악기로 3가지 현악기(거문고?가야금?향비파)와 3가지 관악기(대금?중금?소금)을 가리킴. 【유래 및 역사】 [삼국사기]?악지?에 그 기록이 보인다. 【내용】거문고[玄琴]ㆍ가야금ㆍ향비파를 삼현, 대금(大?)ㆍ중금(中?) 소금(小?)을 삼죽이라고 한다.

    작성일2014-11-16

  • 411

    [용어] 당악정재

    【정의】고려시대 송나라의 교방악에서 유래한 궁중무용. 【유래 및 역사】당악(唐樂)은 당나라의 음악을 뜻하기도 하며, 송나라의 교방악(敎坊樂) 역시 당악으로 불렀다. 당악과 마찬가지로 정재도 송나라에서 들어왔지만 ‘송나라정재’라 하지 않고 ‘당악정재(唐樂呈才)’라 하였다. 당악정재가 우리나라에

    작성일2014-11-16

  • 410

    [용어] 군례악

    【정의】임금의 행차, 군대의 출정 때에 고취악대로 연주되던 음악. 【이칭(異稱)】군악, 고취악, 취타악, 취타 【유래 및 역사】고취악은 흔히 타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이동식 악대로 연주된 음악을 말하는데, 고구려 벽화에 묘사된 고취악대의 연주 장면은 삼국시대에 고취악이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작성일2014-11-16

  • 409

    [용어] 경기입창

    경기입창

    【정의】서울,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는 잡가 중 서서 부르는 노래, 앉아서 부르는 좌창(座唱)과 구별하여 붙여진 명칭. 입창(立唱) 또는 ‘선소리’라고도 하며 산타령을 주로 부름. 【이칭(異稱)】경기선소리, 선소리, 산타령, 선소리 산타령. 【유래 및 역사】경기입창의 연원은 조선 후기 ‘사당패소리’에 두고 있으며 18세기 중ㆍ후반 무렵에 활동했던 의택이와 종대를 시조(始祖)로 삼고 ...

    작성일2014-11-16

  • 408

    [용어] 황해도 배연신굿

    【정의】서해안 지역에서 한 해 동안 바다에서 무사하기를 바라고, 풍어를 빌기 위해 행하는 무당굿. 【유래 및 역사】황해도 배연신굿의 유래에는 임경업(林慶業) 장군(將軍)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한다. 임 장군이 병사들을 거느리고 연평도로 건너갈 때 병사들이 굶주려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는데,

    작성일2014-11-16

667건 (26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