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337

    [악기] 노도

    【정의】제례악(祭禮樂)에 사용하는 타악기. 【형태, 기능 및 특징】붉은색을 칠한 타원형의 북통 2개를 십자 모양으로 겹쳐 긴 장대에 꿰어 매단 북의 일종. 【내용】노도는 제례악에 사용하는 아악기(雅樂器)로, 노고(路鼓), 영고(靈鼓), 영도(靈?), 뇌고(雷鼓), 뇌도(雷?)와 함께 『고

    작성일2014-11-16

  • 336

    [악기] 훈

    【정의】흙(점토)으로 빚은 뒤 구워서 만드는 오카리나와 같은 관악기이자 아악기. 【이칭(異稱)】명구(鳴球)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 고유의 악기는 아니며 고려 예종 11년(1116)년 중국 송나라로부터 소개되었고 이후 조선의 세종 시대에 체계를 정비하여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형태

    작성일2014-11-16

  • 335

    [악기] 풍물복

    【정의】농악 혹은 풍물에 사용하며 소가죽을 북통에 씌운 민간의 무율(無律) 타악기. 【이칭(異稱)】고(鼓), 북, 소리북 【내용】둥근 통에 가죽을 씌운 타악기로 사용하는 음악에 따라 판소리에 치는 것은 소리북, 농악에 쓰이는 것은 풍물북으로 부른다. 농악에 사용하는 북은 지역에 따라 매

    작성일2014-11-16

  • 334

    [악기] 편종

    【정의】장식이 된 나무틀[架子]에 16개의 다른 음정을 내도록 두께가 다른 금속의 종을 매달아 각퇴(角槌)라는 채로 치는 음정이 있는 타악기. 【내용】편종은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져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유입되어 현재까지 제례악과 궁중음악의 관현악에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

    작성일2014-11-16

  • 333

    [악기] 편경

    【정의】장식이 된 나무틀[架子]에 16개의 다른 음정을 내는 ㄱ자 모양의 대리석 돌을 매달아 각퇴(角槌)로 치는 음정이 있는 타악기. 【유래 및 역사】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져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에서 유입되어 현재까지 제례악과 궁중음악의 관현악에 사용하고 있다. 【내용】편종

    작성일2014-11-16

  • 332

    [악기] 특종

    【정의】장식이 된 나무틀[架子]에 금속성의 큰 종(鐘) 한 개를 매달아 각퇴(角槌)로 치는 음정이 있는 타악기이자 아악에만 연주하는 아악기. 【이칭(異稱)】세종 때에는 가종(歌鐘)이라고 함. 【유래 및 역사】특종은 조선 시대 세종 시기 고전(古典)을 참고로 제작하여 이후 궁중의 제례와

    작성일2014-11-16

  • 331

    [악기] 태평소

    【정의】관대 끝에 깔때기 모양의 동팔랑이 달린 음량이 큰 관악기. 【이칭(異稱)】날라리, 호적(胡笛), 쇄납[??], 새납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 고유의 악기는 아니며 고려 시대 원나라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한다. 조선 시대에는 군대에서 군악에 주로 사용하였고, 『악학궤범』에는 태평소를

    작성일2014-11-16

  • 330

    [용어] 쿵

    【정의】장구의 궁편(왼쪽)을 맨손이나 궁채로 치는 연주법의 구음(口音). 【이칭(異稱)】북편이라고도 하며 고(鼓)라고도 한다. 【내용】쿵은 왼손의 북편을 크게 한번 치는 연주법으로 기보(記譜)할 때는 ○의 부호로 표기한다. 정악, 민속악 등 기악곡에서는 대개 맨손으로 연주하며 풍물, 사물놀

    작성일2014-11-16

  • 329

    [용어] 취타수

    【정의】불고 두드리는 관악기와 타악기의 연주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대취타 등 조선 시대 임금의 행차나 군대의 행진에서 타악기와 관악기를 연주하던 취타대 악사의 명칭. 【내용】군영의 악대 소속의 악사의 명칭 중 하나로 장구·징·북·자바라와 같은 타악기와 호적(號笛), 나발(喇叭), 나각(螺角)

    작성일2014-11-16

  • 328

    [용어] 취주악기

    【정의】취구에 입으로 바람을 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일반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나무, 대 등의 관을 입으로 불어서 관 속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 내는 관악기를 지칭한다. 다양한 음악에서 널리 사용되는 피리, 태평소, 생황, 단소를 비롯하여 특정한 의식과 행사에서만 사용되는 나발, 바라,

    작성일2014-11-16

667건 (34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