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 307

    [곡명] 애원성

    【정의】함경도의 대표적인 민요. 【유래 및 역사】향토민요로도 불리고 통속화되어 통속민요로도 불린다. 【내용】혼자서 산길을 걸을 때에나 혼자 김을 맬 때에 흥얼거리며 부르는 등 기능이 정해져 있지 않은 가창유희요의 일종이다. 임과의 이별의 슬픔, 고단한 살림살이, 유랑민의 애환 등과 같이

    작성일2014-11-16

  • 306

    [곡명] 범벅타령

    【정의】경기잡가의 하나. 【내용】‘범벅’이라는 단어를 반복적으로 가사 단락의 끝에 두었기 때문에 ‘범벅타령’이라 부른다. 서사적인 이야기를 길게 부르는 곡으로 민요라 하기 어렵고, 가창자들이 잡가꾼이 아니어서 잡가라 하기도 어려우나, 가사의 형식으로는 잡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본래

    작성일2014-11-16

  • 305

    [곡명] 새야새야

    【정의】매우 단순한 구조와 선율로 된 민요의 하나. 【이칭(異稱)】‘새야새야 파랑새야’라 이르기 함 【유래 및 역사】이 노래에는 동학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래된다. 동학 농민 운동(1894) 때에 일본군이 푸른색 군복을 입어 파랑새는 일본군을 뜻하며 전봉준이 녹두장군이라 불리었던 점을 보아 녹

    작성일2014-11-16

  • 304

    [곡명] 상주모심기소리

    【정의】경상북도 상주 지역의 모심는 소리를 편곡한 곡. 【이칭(異稱)】공갈못노래, 채련요(採蓮謠), 모노래 【내용】경상북도 지방의 대표적 민요로,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13호 상주민요에 포함되어 있다. 모심기소리는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래로 경상북도 현지에서는 보통 ‘모노래’라고 부른다

    작성일2014-11-16

  • 303

    [곡명] 금강산타령

    【정의】근대에 만들어진 남도잡가의 하나. 【내용】금강산의 경치와 사랑을 노래하므로 금강산타령이라 부른다. 보렴, 화초사거리와 같은 오래된 잡가를 대체하여 근래에 자주 불리게 된 새로운 잡가라 할 수 있다. 육자배기조로 되어 있으며 3소박 4박자의 중중모리장단에 맞는다. 잡가로 만들어진 노

    작성일2014-11-16

  • 302

    [곡명] 울산쇠불이노래

    【정의】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여 쇠의 원석을 달구거나 녹이면서 부르던 노래. 【이칭(異稱)】쇠를 부리는 노래라 하여 ‘쇠부리노래‘라 하기도 하고 풀무질을 하며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풀무질소리‘, ’불매질소리‘라고도 함. 불매는 풀무의 사투리. 【내용】쇠불이노래란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여

    작성일2014-11-16

  • 301

    [곡명] 바위타령

    【정의】휘모리잡가의 하나. 【내용】유명한 바위들을 가사로 노래하며 풍자와 과장이 심하다. 다른 휘모리잡가와 구조와 내용, 박자 구조와 선율이 조금 다르다. 첫머리를 노랫가락으로 시작해 한 마디를 끝내고, 이후 바위를 섬기는데, 이때부터 자진도드리로 연주한다. 또 ‘김포로 돌아 감바위’에서

    작성일2014-11-16

  • 300

    [곡명] 육칠월흐린날

    【정의】휘모리잡가의 한 곡. 노래의 가사가 ‘육칠월 흐린 날’로 시작하기 때문에 붙여진 제목이다. 【이칭(異稱)】짧게 '육칠월'이라고 하기도 함 【유래 및 역사】 1875년 박효관의 『가곡원류』에 유사한 내용이 있으며, 50년쯤 뒤인 1928년에 최남선이 엮어낸 『시조유취』에 '어듸야

    작성일2014-11-16

  • 299

    [곡명] 영산홍

    【정의】강릉단오제에서 신을 맞이하면서 부르는 신가(神歌). 【내용】강릉에서는 해마다 오월 단오가 되면 음력 사월 보름날 5일 동안 마을 굿을 벌인다. 이때 영산홍은 대관령의 수호신인 국사서낭을 현재 강릉시 홍제동에 자리한 여서낭당으로 모셔올 때 부르는 노래이다. 앞소리의 사설은 신을 모셔

    작성일2014-11-16

  • 298

    [곡명] 배내리는소리

    【정의】육지에 올려 놓은 배를 바다로 내리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배를 육지로 올리거나 바다로 내릴 때 부른다. 옛날에 항구가 없을 때는 태풍이 오거나 큰 바람이 불면 배를 안전한 뭍으로 옮겨야 했다. 배를 움직이는 일은 많은 힘을 동시에 써야 하므로 구호적 성격의 외침 소리를 사용하여

    작성일2014-11-16

667건 (37 / 6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