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농기

  • 작성일2014-11-16

 

풍물놀이

 

【정의】

 마을 공동체의 제사나 행진, 판놀음에서 꽹과리, 징, 장구, 북,소고 등의 악기 연주와 잡색의 연희가 어우러지는 음악. 지역이나 기능에 따라 ‘지신밟기’, ‘마당밟이’, ‘매구’, ‘굿’, ‘매굿’, ‘풍물굿’, ‘풍장굿’, ‘두레굿’, ‘걸궁’, ‘걸립’, ‘농악’ 등으로 불림.

【내용】

 풍물놀이는 기능에 따라 마을굿, 두레굿, 걸립굿, 판굿 등으로 나누어진다. 마을굿은마을의안녕과 평안을 기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는 것으로, 당굿(당산굿)과 지신밟기(마당밟이, 돌돌이)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마을의 공동 제사(당산제, 동제)와 관련되어 있다.두레굿은 두레기에 농신을 모시고 논을 매러 들에 나가고 들어오는 행진에 연주되는 것이다. 걸립굿은 마을의 공공 기금이나 절의 중수 기금, 다리 건립 기금 등을 마련하기 위해 농악대를 조직하여 마을을 돌아다니며 하는 농악을 말하며, 판굿은 예술적인 연기를 바탕으로 삼는 전문적인 연주 집단이 연주하는 공연용 굿으로 남사당패의 농악이 여기에 속한다.

 풍물놀이의 편성은 나발(지역에 따라 영각, 동각 등을 사용하기도 함), 쇄납(날라리, 태평소) 등의 관악기와 꽹과리, 징, 장고, 북과 소고 등의 타악기, 또 무동이나 대포수, 중, 각시 등의 잡색, 그리고 농기나 영기와 같은 기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 기, 소고, 잡색은 뒷치배라 하고 나머지는 앞치배라 하는데, 앞치배는 주로 연주를 담당하고, 뒷치배는 춤과 재담 등의 연극적 놀이를 연출한다. 편성은 기능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두레굿을 칠 때는 풍물놀이 복색이나 편성이 간소한 반면, 걸립굿이나 판굿에서는 편성과 복색,놀이가 다양하고 화려하게 구성된다. 또 경기 지역에서는 무동놀이가 놀아지는 것에 비해, 영남과 호남 농악에는 대포수와 조리중, 각시, 할미, 영감 등의 다양한 잡색들의 연극적 연희도 어우러진다.

 풍물놀이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연행되므로 지역별로 나눈다. 보통 경기·충청 농악, 영동·영남 농악, 호남 좌도 농악, 호남 우도 농악 등으로 나누며, 이것을 크게 묶어 웃다리 농악(중부 이북), 아랫다리 농악(중부 이남)으로 나누기도 한다.

농악에 사용하는 가락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근래에는 삼채나 굿거리형 가락들이 전국적으로 연주되는 양상을 띠지만, 지역에 따라 다른 가락을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길을 걸어가며 치는 길굿으로 웃다리농악에서는 길군악칠채를, 호남에서는 오채질굿을 연주하며 이마저도 마을마다 잔가락이 다르게 연주된다.

 풍물놀이에 사용되는 가락의 명칭은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숫자가 붙는 장단명으로 세마치, 일채, 이채, 삼채, 오채길굿, 길군악칠채 등이 있다. 채 또는 마치는 ‘때리다’는 뜻의 우리말이며, 앞의 숫자는 1장단에 연주되는 징의 타점 수이다. 둘째, 장소드러나는 장단명으로 샘굿, 정재굿, 장광굿, 문굿, 길굿과 같이 어떤 장소에서 연주되는지에 따라 이름이 붙는다. 셋째, 특정 기능을 의미하는 장단명으로 영산굿, 노래굿이 있다.

 

【필자】김혜정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