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무속음악

  • 작성일2014-11-16

【정의】무당이 굿을 하면서 연행하는 음악.

내용무속음악은 지방에 따라 연행 예술의 모습이 다른데, 대개 서북 지방?서남 지방?동부 지?제주도의 네 개의 무악권(巫樂圈)으로 묶을 수 있다. 무당의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서북 지방의 굿은 신이 들려 무당이 되는 강신 무당의 굿이고, 서남 지방과 동부 지방의 굿은 집안 대대로 무당이 되는 세습 무당의 굿이다. 4개 지방의 문화적 특색에 따라 무악에서도 악기 편성의 차이가 있고 음악에 쓰이는 장단이나 가락도 많은 차이가 있다.

 서북 지방은 황해도와 서울 지방을 아우른다. 이 지방의 굿은 ‘만신(萬神)’이라고 부르는 강신 무당에 의해 행해진다. 황해도 굿은 다른 지역의 굿에 비해 적은 수의 악기로 반주한다. 주로 장구가 만신의 노래를 반주하고, 만신이 춤을 추면 징과 제금(바라)이 더해지기도 한다. 규모가 큰 굿에서는 피리와 호적(태평소)이 편성되기도 하는데, 만신의 노래는 피리가, 춤은 호적이 반주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 외에도 젓대(대금)와 해금을 더한 삼현육각(三絃六角)이 반주할 때도 있다. 서울 굿 음악은 궁중음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악기 편성에서부터 이런 흔적이 드러난다. 서울 굿은 흔히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으로 반주되는데, 이는 목피리?곁피리?젓대(대금)?해금?장구?북의 여섯 악기로 편성된다.

남 지방은 한강 이남의 경기도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서남부 해안 지역을 아우른다. 이 지방은 흔히 ‘시나위권(圈)’이라고도 한다. 시나위는 본래 살풀이나 도살풀이, 덩덕궁이 등의 장단에 ‘시나위조(調)’ 혹은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 가락의 기악곡을 가리키는 것으로, 세습 무당의 무가 반주 음악을 일컫는 것이다. 서남 지방 굿은 세습 무당에 의해 행해지는데, 대개 부부인 여성 무당과 남성 악사가 짝을 이뤄 굿을 행한다. 경기도 굿은 서울 굿과 마찬가지로 삼현육각 편성으로 반주하지만, 세습 무당이 전승하기 때문에 서울 굿과는 다른 점이 많다. 진도 씻김굿은 ‘당골’이라고 부르는 세습 무당에 의해 연행된다. 반주 음악인 시나위는 본래 삼현육각 편성이었지만, 최근에는 아쟁이나 가야금이 더해진다. 경상도 서남부 해안의 남해안 굿 음악은 인접한 전라도와 동해안의 점이 지역으로 육자배기토리가 주를 이루지만 장단 등에서는 동해안 굿 음악의 영향도 있는 독특한 음악을 보여준다.

 동부 지방은 강원도와 경상도의 동해안 지역을 아우른다. 동부 지굿 음악은 청배무가를 부를 때 연주하는 청보장단이 지역에 따라 미세한 차이를 보이면서 달어청보장단으로 연주하는 경북권과 엇청보장단으로 연주하는 경남권으로 나눌 수 있다. 동해안 굿은 타악기로만 반주되는데, 보통 두 대의 꽹과리와 장구?징?바라가 하나씩 편성된다.

제주도 굿 음악은 제주도 문화 자체가 ‘뭍’의 문화와 다르기 때문에 뭍의 굿 음악과는 매우 다른 모습을 보인다. ‘심방’이라는 무당에 의해 연행되고, 설쇠?대영?구덕북?장구 등의 반주가 따른다. 제주도에서는 악기를 ‘연물(演物)’이라고 한다. 설쇠는 쇠로 만든 악기로 밥그릇 모양으로 생긴 타악기를 엎어 놓고 채로 치는 악기이다. 대영은 징, 구덕북은 북을 제주도에서 일컫는 용어이다. 제주도의 북은 뭍의 북에 비해 생김새가 소박하고 대개 북의 한쪽 면만을 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제주도 굿에서 쓰는 장구는 일반적인 장구보다 크기가 훨씬 작다.

【필자】이용식

【참고문헌】이용식.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서울: 집문다, 2006.

이용식: [한국음악의 뿌리 팔도굿음악]. 서울: 서울댸학교 출판부, 20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