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향악

  • 작성일2014-11-16

【정의】삼국시대부터 지금까지 전해 내려오는 우리나라 고유의 상층(지배계층)음악.

【이칭】속악

【내용】향악은 삼국시대에 당악이 유입된 뒤 외래의 당악과 우리나라 고유의 지배 계층 음악인 향악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름 지어졌다. 삼국시대 이후 조선말까지 주로 외래 음악의 대칭어로서 사용되었지만, 통일신라시대 이전 서역(중앙아시아)에서 유입되어 우리 음악에 흡수 동화된 음악까지도 포함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통일신라시대 때 대문장가인 최치원이 쓴 <향악잡영오수(鄕樂雜詠五首)>라는 시에 잘 나타나며, 여기서 향악은 과거 서역에서 유입된 음악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향악과 당악의 구분은 악기 분류법에도 영향을 미쳐, 당비파향비파처럼 계통에 따라 당악기와 향악기로 구분되었으며, 궁중무용춤인 정재의 경우에도 중국에서 전래된 것은 당악정재, 한국에서 만든 것은 향악정재라 일컬어졌다. 그러나 조선 중·후기부터 당악이 빠르게 향악화 되면서 그 용어 및 갈래의 구분이 모호해지게 된다.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향악으로는, 종묘제례악의 <정대업>과 <보태평>, <여민락>, <수제천>, <취타>, <영산회상> 등이 있다.

【필자】손인애

【참고문헌】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