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죽지사

  • 작성일2014-11-16

【정의】조선 후기 발달하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성악곡인 12가사 가운데 한 곡.

【이칭(異稱)】“건곤불로(乾坤不老)”로 시작되는 첫 구를 따서 <건곤가(乾坤歌)>라고도 함.

【유래 및 역사】가사 <죽지사>는 19세기 말엽의 가집인 가람본 [가곡원류]에 처음 보이므로, 여타 12가사에 비해 뒤늦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노랫말은 조선 숙종 때의 문인인 이재(李縡)가 장원급제 때 쓴 대이태백혼송죽지사(代李太白魂誦竹枝詞)의 일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이 바로 전체 4절로 이루어진 <죽지사> 가운데 첫 구인 "건곤(乾坤)이 불로(不老) 월장재(月長在)하니 적막강산(寂寞江山)이 금백년(今百年)이로구나"이다. 나머지 구절은 “책 보다가 창 퉁탕 열치니”와 같은 우리말 사설이 있는가 하면 “낙동강상(洛東江上) 선주범(仙舟泛)하니”와 같은 한시풍이 섞여 있다. <죽지사>의 노랫말은 시대별로 약간의 변화를 거쳐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정착되었다.

【내용】<죽지사>는 본디 중국 음악의 일반적 갈래명으로서, 향토적 정취나 민요풍을 띤 다양한 노래를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본떠 많은 문인들이 <죽지사>를 지었으나, 지금은 12가사 중의 한 곡명으로 남아있다.

매 구절의 끝에 “어히요 이히요 이히요~야루 너니나 야루나”의 민요에서 볼 수 있는 입타령이 붙어있어 한시의 구절과 대조를 이룬다.

 <죽지사>의 음악은 입타령을 포함하여 각 절이 똑같은 곡조로 반복된다. 창법도 비교적 높은 음역대에서 통목을 많이 사용하여 전체적인 곡태가 명랑하고 생동감이 있다. 음계는 황종, 태주, 중려, 임종, 남려 5음으로 우조적인 선율에 민요풍의 창법이 섞여 있다. 장단은 대부분의 12가사와 같이 6박 1장단을 주기로 반복되는 리듬에 얹혀 불린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은희, ?12가사의 문화적 기반과 양식적 특성?(성균관대학교 박사논문, 2002); 문현·김혜리, [가사](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하응백 편저, [창악집성](서울: Human & Books, 201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