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종교음악

  • 작성일2014-11-16

【정의】종교 의례에서 연행되는 음악.

유래 및 역사종교음악은 종교 의례에서는 늘 연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교음악의 유래는 종교가 시작되면서부터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청동기 시대에 동북아시아에서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여겨지는 무교(巫敎), 삼국시대에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불교와 도교, 고려 시대에 본격적으로 중국에서 들어오고 조선 시대를 거치면서 우리나라의 중심 종교가 된 유교, 조선 말엽에 들어온 서양 종교인 기독교 등이 모두 의례에서 음악을 연행한다.

중국인 진수(陳壽, 233~297)가 3세기 무렵의 한반도 문화를 기록한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는 당시 고대국가의 제천의식(祭天儀式)에서 연행했던 악가무(樂歌舞)가 기록되어 있다. 당시 부여에는 영고(迎鼓), 고구려에는 동맹(東盟), 예에는 무천(舞天)이라는 제천의식이 있었다고 한다. 제천의식에서는 온 나라의 사람들이 한데 모여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술과 음식을 먹으면서 노래와 춤으로 하늘에 기원하는 행사를 했다. 우리 민족의 종교음악은 매우 오래된 것이며, 오늘날까지도 전승되고 있다.

내용① 무교 음악: 무교 의례인 굿에서는 무당의 노래와 춤, 반주하는 악사의 음악이 따른다. 무당은 신(神)의 유래나 본성을 길게 노래하는 서사무가인 본(本)풀이를 부르기도 하고, 신이 굿판에까지 오는 여정을 노래하는 서사무가인 노정기(路程記)를 부르기도 한다. 또한 지방에 따라 서울의 <창부타령>, 호남의 <성주풀이>, 제주도의 <서우제소리> 등 대중에게 친숙한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굿판의 악사는 피리·젓대·해금·장구·북으로 구성된 삼현육각(三絃六角) 편성이 되기도 하고, 동해안이나 제주도에서는 타악기만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전라도에서는 최근 아쟁이 더해지면서 시나위가 짜여지기도 한다.

② 불교음악: 불교 의례인 재(齋)에서는 승려의 노래와 춤, 반주하는 악사의 음악이 따른다. 불교 승려의 노래를 범패(梵唄)라 하는데, 이를 범음(梵音), 어산(魚山)소리, 인도소리라고도 한다. 범패는 안채비소리와 겉채비소리 구분하고, 겉채비소리는 다시 홋소리와 짓소리로 구분한다. 불교 승려의 춤을 작법(作法)이라 한다. 작법에는 바라를 들고 추는 바라춤, 노란 고깔을 쓰고 양 손에 연꽃을 들고 추는 나비춤, 큰 북을 두드리면서 추는 법고춤이 있다. 불교의 기악 음악은 외부의 전문음악가를 초청해서 연주한다. 이들을 조라치 또는 겸내취라고 한다. 기악 음악은 피리·젓대·해금·장구·북으로 구성된 삼현육각 음악과 나발·나각·용고·자바라 등으로 편성된 대취타 음악이 어우러진다. 이 때 대취타의 태평소는 불교 승려가 연주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③ 도교 음악: 우리나라에는 도교가 성행하지 않기 때문에 도교 음악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다만 무당굿에서 도교의 각종 경(經)을 읊는 것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중국에서 도교 계통 음악으로 전승되는 <보허자(步虛子)>는 고려 시대에 들어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궁중음악과 풍류 음악으로 연주된다.

④ 유교 음악: 고려 시대 이래 궁중에서는 유교와 관련된 각종 의식 음악이 전승되었다. 고려 시대인 1116년(예종 11년)에 중국 송(宋)나라에서 대성아악(大成雅樂)이 전해지면서 조선 시대까지는 하늘의 신에게 드리는 제사인 원구(圓丘), 땅의 신에게 드리는 제사인 사직(社稷), 역대 왕과 왕비에게 드리는 제사인 종묘(宗廟), 공자와 제자들에게 드리는 제사인 문묘(文廟), 농사를 관장하는 신에게 드리는 제사인 선농(先農), 양잠을 관장하는 신에게 드리는 제사인 선잠(先蠶) 등에서 모두 아악을 연주했지만, 현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된 문묘(석전대제라고 함)에서 거행하는 문묘제례악만 아악으로 연주한다. 세종 때 만들어진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이 세조 때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전승된다. 종묘제례악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으며, 2001년에는 유네스코(UNESCO)가 인류구전무형문화유산걸작의 하나로 지정했다.

유교 제례음악에서 부르는 노래는 악장(樂章), 춤은 일무(佾舞)라고 한다. 일무는 문덕을 칭송하는 문무(文舞)와 무공을 칭송하는 무무(武舞)로 구분한다. 음악은 댓돌 위에 편성하는 등가(登歌)와 댓돌 밑에 편성하는 헌가(軒架)를 제사의 절차에 따라 음양의 원리에 맞춰 연주한다.

【필자】이용식

【참고문헌】권오성. [한국의 종교음악]. 서울: 보고사, 2010.

이용식. [민속, 문화, 그리고 음악]. 서울: 집문당, 20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