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전통성악을 개량한 북한의 민족성악, 민요로 함께하는 현재의 북한성악!

전통성악을 개량한 북한의 민족성악, 민요로 함께하는 현재의 북한성악!

<제2회 북한음악 연주회 및 학술회의> 개최

9월 24일(목) 오후 2시, ‘북한의 민족성악’을 주제로 한 학술회의

오후 7시에는 민요 중심의 북한 성악곡 연주회 열려

 

<왼쪽부터 오는 9월 24일 북한음악 연주회 무대에 오르는 김순희, 렴수원, 박춘희, 임향숙>

 

□ 국립국악원(원장 김해숙)은 오는 9월 24일(목) 오후 2시와 7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제2회 북한음악 학술회의와 ‘북한의 민족성악’과 연주회를 개최한다.

 

전통민요를 기반으로 한 남북 민족성악의 비교의 자리

창법과 화성의 도입, 사회주의에 따른 가사 중시한 북한 성악의 특징 직접 확인해

 

□ 특히 이번 제2회 북한음악연주회는 지난해 악기를 위주로 했던 ‘민족기악’과 달리 북한식 발성과 창법, 북한 양식의 성악곡을 감상할 수 있는 ‘민족성악’을 알아보는 자리로 마련했다. 또한 이번 연주회에서는 남한의 전통 민요와 창작음악까지 함께 비교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 북한은 1950년대 중반부터, 특히 일제강점기 단절되었던 민족음악의 현대화 사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음률의 문제와 함께 전통악기 개량사업이 진행되었고, 이와 함께 성악분야의 개량사업도 진행되었다.

 

□ 발성과 창법도 현대 감성에 맞게 바꾸는 사업을 진행했다. 민족성악의 개량은 일반 주민들의 취향에 맞게 ‘민요’를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단성부 위주의 민요들을 서양의 ‘다성음악’을 본보기로 해 개편했다. 이에 따라 남녀성부를 나누고 고저성부를 나눠 음악적 다양화를 꾀했고 다양한 중창 형식을 개발해 연주곡목을 넓혔다.

 

□ 음악 양식의 측면과 함께 무엇보다도 중요시한 것이 바로 ‘가사’였다. 북한의 민족음악 역시 사회주의 문학예술 작품 내용을 현대적 감수성에 맞는 ‘가사’로 다뤘으며 현대 북한 사회나 주민들의 모습도 담아내도록 바꿔나갔다.

 

□ 이번 연주회에는 북한에서 유학하고, 북한의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등에서 수상경력이 있는 북한음악의 전문가인 중국 연길의 성악가 ‘김순희’, ‘렴수원’, ‘박춘희’, ‘임향숙’, ‘최성룡’이 참여한다. 이들이 연주할 10곡은 이번 공연에 맞게 편곡되었는데 편곡은 연길의 작곡가 ‘박찬일’이 맡아 진행하였다.

 

□ 북한음악으로 부를 곡목은 2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전통민요를 북한식으로 편곡한 곡들로서 혼성중창 〈모란봉〉·〈회양닐리리〉와 독창〈바다의 노래〉·〈영천아리랑〉·〈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가 그것이다. 다음으로는 전통 민요를 기반으로 새로 창작한 독창〈산천가〉·〈소방울소리〉·〈우리 장단이 좋아〉·〈풍년새가 날아든다〉·〈황금산 타령〉가 이어진다.

 

제2회 북한음악 학술회의, 북한의 민족성악 개량과정 및 결과 검토하는 자리 마련해

 

□ 연주회에 앞서 오후 2시 학술회의에서는 ‘북한의 민족성악’을 주제로 연구자들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주요 내용은 남쪽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는 판소리의 거친 발성이 1950~60년대 북한에서 사라지게 된 과정과 남쪽 학계에는 소개되지 않았던 북한의 민족성악 작곡기법과 합창법, 실제 음악에 대한 분석 결과 등이다.

 

□ 학술회의는 송지원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장을 좌장으로 해 4명의 발표자가 참여한다. <1950∼60년대 북한 음악계의 탁성 논쟁.(배인교 단국대 교수), <북한 민족성악의 합창법 연구>(고상미 경기민요 이수자>, <북한 민족성악곡의 작곡기법 연구>(신호 연변대학교 예술학원 원장),<〈모란봉〉과 〈울산타령〉을 통해 본 북한민족성악>(이경분 서울대 교수)다.

 

□ 송지원 국악연구실장은 “이념과 체제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 북한의 성악음악 세계를 만남으로써 통일을 대비한 문화적 소통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 이번 학술회의는 전석 초대(무료)로 진행되며 음악회는 국립국악원 누리집(www.gugak.go.kr)의 예약을 통해 관람 가능하며 관람료는 전석 무료이다. 9.24.(목) 14:00~18:00 / 19:00~20:00, 국립국악원 우면당 (문의 02-580-3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