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박연폭포

  • 작성일2014-11-16

【정의】경기도의 통속민요로 전승되고 있는 노래의 하나.

【이칭(異稱)】첫머리의 가사가 “박연폭포”로 시작해서 흔히 <박연폭포>라 부르며, 황해도의 <난봉가>의 후렴과 가사가 닮아 있다고 해서 <개성난봉가>라고도 함.

【내용】

<박연폭포>는 개성의 명승지 박연폭포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첫 구절을 비롯하여, 자연에 대한 인간의 정회나 남녀 간의 사랑을 노래하는 가사로 짜여 있다. 후렴은 “에 에헤야 에헤 에루화 좋고 좋다 어러럼마 디여라 내 사랑아”로서, <난봉가>와 유사하여 <개성난봉가>라는 이칭을 얻었지만 음악적으로 난봉가 계통의 소리와는 다르다.

 오늘날에는 경기민요의 특징을 강하게 지니고 있지만, 20세기 초만 하여도 경기와 서도 등 가수의 출신 지역에 따라 각기 조금씩 다른 선율을 구사하여 부르기도 했다.

장단은 3박자 4개가 모여 하나의 주기를 이루는 굿거리장단이다. 메기는소리와 받는소리가 각각 굿거리 2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래는 매 악절의 첫머리를 높이 질러내서 점차 하행하는 선율로서 밝고 흥청거리는 느낌을 준다.

【필자】김인숙

【참고문헌】김영운, ?20세기 한국민요 변화의 한 양상?, [한국민요학](서울: 한국민요학회, 2004), 15집; 김정연, [서도소리대전집]((서울: 경원각출판사, 1979); 이창배, [한국가창대계](서울: 홍인문화사, 197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