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보기) | 국립국악원

국악사전

계락

  • 작성일2014-11-16

【정의】전통 가곡 중 계면조로 부르는 악곡의 하나.

【유래 및 역사】가사는 청구영언(靑丘永言)·가곡원류(歌曲源流) 등에 전하며, 옛 악보로는 유예지(遊藝志)·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등에 실려 있다. 가곡 창사의 작자는 김묵수(金?壽, 연대 미상)로 알려져 있고, 경정산(敬亭山) 가단(歌壇)에서 활동하였으며, 김수장의 후배로만 알려져 있다.

【이칭(異稱)】계락시조(界樂時調), 계락낙시조(界樂落時調)

【내용】현재의 계락은 남창과 여창으로 부르며, 남창은 <철총마>를, 여창은 <청산도>를 자주 부른다. 남창은 <평롱 平弄>과 <우락 羽樂> 사이에 부르고, 여창은 <환계락 還界樂>과 <편삭(수)대엽 編數大葉> 사이에 부른다. 대여음(大餘音:전주) · 1장 · 2장 · 3장 · 중여음(中餘音:간주) · 4장 · 5장으로 구성되며, 1장단은 16박 기본 장단을 사용한다. 반주는 거문고·가야금·대금·세피리·해금·장구가 각각 하나씩 편성되는 관현 반주를 사용하며 단소와 양금이 포함되기도 한다. 한배는 1분에 약 55정간(井間)의 빠르기이다. 오늘날 널리 부르는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여창으로 부르는 <청산도>는 김인후(金麟厚)가 지은 시로 알려져 있다.

철총마(鐵?馬)는 몸에 검푸른 무늬가 박힌 말을, 보라(甫羅)매는 매사냥에 쓰는 참매를, 백우장전(白羽長箭)은 흰 새깃으로 장식된 화살을, 천근각궁(千斤角弓)은 무거워 멀리 쏠 수 있는 활을, 성은(聖恩)은 임금님의 은혜를 뜻한다.

여창 3장에 ‘산절로절로 수절로절로 산수간에 나도 절로절로’는 ‘산절로 수절로 산수간에 나도절로’를 <계락>이라는 곡조에 흥을 실어 부르기 위해 반복하여 부른 것이다.

【필자】김우진

【참고문헌】『가곡원류』

이주환, 가곡보』, 서울: 가곡회, 1970.

이창배, 한국가창대계』,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가곡의 연구』, 『한국음악연구』5, 서울: 한국국악학회, 1975.

장사훈, 국악총논』, 서울: 정음사, 1976.

김기수, 남창가곡백선』, 서울: 은하출판사, 1979.

김기수, 여창가곡여든여덟닢』, 서울: 은하출판사, 1980.

한국문학사전』, 대한민국예술원, 1985.

이양교, 시조창보』, 서울: 서울가악회, 1994.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