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악사전

월령가

  • 작성일2014-11-16

【정의】일 년 열두 달의 풍속을 담은 경기 십이잡가 중의 한 곡

【이칭(異稱)】달거리

【내용】

흔히 <달거리>라 부르는 곡으로 경기 십이잡가(十二雜歌)의 하나이다. 경기 십이잡가는 느리게 부른다 하여 긴잡가라고도 하고 앉아서 부른다 하여 경기좌창(--座唱)이라고도 한다. 경기잡가의 열두 곡을 격조의 높고 낮음에 의해 팔잡가(八雜歌)와 잡잡가(雜雜歌)로 다시 나누기도 하는데 <달거리>는 잡잡가에 해당한다. 오늘날은 잡잡가가 내용에 음악적 변화가 많고 속도도 팔잡가에 비하여 빠른 편이어서 대중들에게 더 친숙하게 받아들여질 곡으로 여겨진다.

일 년 열두 달의 풍속을 담은 월령가는 오랜 전통을 지닌 방식의 노래다. 달거리 형식의 첫 작품은 <동동(動動)>이다. 고려가요 <동동>은 달마다 돌아오는 명절에 가신 임을 그린다는 월령체로 남녀 간의 연정을 담고 있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2월가>, <사친가(思親歌)>, <관등가(觀燈歌)> 등도 월령체이다.

기 긴잡가 <달거리>는 월령가라고 하지만 열두 달 중에서 정월, 이월, 삼월에 대하여만 다루고 그 이하는 달과 관계없는 내용이 이어진다.

전체적으로 기본형 도드리장단이지만 빠르기는 세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앞부분은 도드리장단을 세마치 두 장단을 치듯이 치고, 중간은 도드리의 기본 장단으로 치며, 마지막 셋째부분에서는 도드리 두 장단을 굿거리장단처럼 친다.

첫 부분은 “네가 나를 볼양이면 심양강 건너와서”로 시작하여 부모 봉양에 대해 읊은 정월, 한식(寒食)에 대해 읊은 2월, 제비를 읊은 3월까지인데, 각 월(月) 다음에는 “이 신구 저 신구 잠자리 내 신구 일조낭군이 네가 내 건곤이지 아무리 하여도 네가 내건곤이지”하는 후렴을 부른다.

둘째 부분인 “적수단신(赤手單身) 이내몸이 나래돋친 학이나 되면 훨훨 수루루룩 가련마는” 다음에 이어지는 후렴은 앞과 전혀 다르다. “나아하에 지루에 에도 산이로구나”하고 흔히 사당패 소리에 붙는 후렴이 붙는다. “안올림 벙거지에 진사상모를 덤벅 달고 만석당혜를 좌르르 끌며 춘향아 부르는 소래 사람의 간장이 다 녹는다” “경상도 태백산은 상주 낙동강이 둘러 있고 전라도 지리산은 두치강이 둘러있고 충청도 계룡산은 공주 금강이 다 둘렀다” 하는 본 절의 내용은 서로 아무 관계가 없다. 이 대목은 다른 긴잡가들처럼 도드리장단으로 친다.

셋째 부분인 “좋구나 매화로다……”부터는 흥겨운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한다. 이 부분을 따로 <매화타령>이라고도 부르는데 경기민요에도 든다.

경기잡가 <월령가>의 음계는 전체적으로 ‘솔-라-도-레-미’의 5음 음계이고 선율은 경토리로 되어 있다.

【필자】김현숙

참고문헌이창배, 『한국가창대계』홍인문화사, 1976

김소희, 「서울의 긴소리 中 '달거리(月令歌)'의 분석 연구」단국대학교 석사논문, 2008

두산백과(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131467&mobile&categoryId=200000843)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