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삼현육각

  • 작성일2014-11-16

【정의】악기 편성의 명칭

【이칭(異稱)】육잡이, 육잽이

【유래 및 역사】오늘날과 같은 악기 편성의 삼현육각은 조선 후기 18세기 무렵 등장하는데, 단원 김홍도가 그린 무동(舞童)에 그 형태가 보인다. 삼현육각은 관아의 연향, 지방 향교의 제향, 굿 의식, 사가의연향, 가무의 반주, 귀인의 행차, 민속극(인형극, 가면극, 탈춤)의 반주 음악으로도 쓰였다. 삼현육각의 연주 전통은 20세기 전반까지 해주ㆍ은율ㆍ전주ㆍ영광ㆍ고흥ㆍ통영 등을 중심으로 이어졌고, 음악에 있어 지역적 차이가 있었으나 현재에는 거의 전승이 단절되었다. 오늘날에는 <수제천(정읍)>과 같은 궁중음악, 민간 풍류, 무용과 탈춤 반주에 쓰이고 있다.

【내용】

삼현육각은 향피리2ㆍ대금1ㆍ 해금1ㆍ 장구1ㆍ1의 악기로 편성되는 관악합주 형태 또는 이러한 편성으로 연주되는 음악을 말한다. <수제천(정읍)>, <관악영산회상(또는 삼현영산회상)> 무용·탈춤의 반주 음악, 행악(行樂)으로 쓰이는 <대풍류(大風流)>가 있다.

  삼현육각

【필자】임미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