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새납

  • 작성일2014-11-16

 

태평소

 

【정의】관대 끝에 깔때기 모양의 동팔랑이 달린 음량이 큰 관악기.

【이칭(異稱)날라리, 호적(胡笛), 쇄납[??], 새납

【유래 및 역사】우리나라 고유의 악기는 아니며 려 시대 원나라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측한다. 선 시대에는 군대에서 군악에 주로 사용하였고, 『악학궤범』에는 태평소를 당악기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세종대왕이 작곡한 정대업에는 징과 함께 무공(武功)을 상징하는 악기로 사용되었다. 또한 태평소는 농악, 굿, 유랑 예인들의 공연, 탈춤패의 길놀이, 불교 의식에서도 연주되면서 민속음악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고 농악대에서 연주되는 유일한 선율악기이기도 하다. 태평소 독주 시나위는 일제시대 민속악인들의 공연 종목으로 연주되기 시작하여 현재 서용석, 박종선, 김동진 등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형태, 기능 및 특징】대추나무나 화류목으로 관을 만들고 관대 끝에 깔때기 모양의 놋쇠, 구리, 주석으로 만든 반구형(半球形) 팔 모양의 동팔랑을 달린 관악기이다. 여덟 개의 지공이 있으며, 갈대로 만든 겹서(double-reed)를 끼워 분다.

【내용】태평소는 세로로 부는 음량이 큰 악기로 대취타나 취타 등의 행진용 궁중음악과 야외용 민속음악에 사용되는데 음색이 화려하고 강렬하여 전통음악 뿐만 아니라 현대에 창작되는 국악곡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필자】김희선

【참고문헌】송혜진『한국악기』서울: 열화당. 2001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