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사

2019 송년공연 "종묘제례악" 감상 후기

학기 초 국악개론 수업에서 악조에 대해 학습하면서 종묘제례악의 정대업과 보태평이 각각 계면조와 평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최근의 국악개론 수업에서는 종묘제례악의 절차와 구체적인 특징에 대하여 학습하였다. 이를 통해 종묘제례악을 단순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악 또는 웅장한 분위기를 내는 악이라고 생각하는 데 그쳤던 이전과는 달리, 종묘제례악에 대한 나의 배경지식이나 시야가 확장되었다는 생각을 하였다. 새롭게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종묘제례악을 감상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이 공연을 감상하게 되었다.

먼저, 본격적인 감상에 앞서 종묘제례악이란, 조선 시대 왕실의 사당인 종묘에서 제사를 지낼 때 연주하는 노래와 기악 및 무용으로 구성된 제례악무 일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종묘의 제례는 조선 시대 국가의 최고 의례였으며, 국왕이 직접 참석하여 조상들께 제사를 지내는 의식이었으므로, 이때 연주되는 음악도 조선 시대 통치이념의 하나인 예악 사상을 구현하는 매우 장엄한 음악이었다.

종묘제례악을 감상하면서 명확하게 구분한 절차는 크게 제관들이 각자 자리를 잡는 취위, 신을 맞이하는 영신, 신에게 음식을 올리는 진찬, 다음으로 보태평 11곡, 정대업 11곡 순서로 진행되었다. 종묘제례악을 감상하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두 부분은 ‘진찬의 풍안지악’, 그리고 ‘기명과 독경’이었다. 먼저 진찬의 풍안지악이 인상 깊었던 이유는 일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진찬 다음 순서인 보태평과 정대업은 여러 줄로 벌여 서서 추는 춤인 일무를 행하며 노래하였다. 반면 진찬의 풍안지악은 가만히 앉아서 일무 없이 노래만 불렀기에 그 소리에 더욱 집중할 수 있었다. 두 번째는 기명과 독경이다. 이 공연을 감상하기에 앞서 김영운 저자의 국악개론에 나오는 종묘제례악 부분을 한번 읽고 감상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보태평의 두 번째 곡인 기명과 정대업의 두 번째 곡인 독경은 같은 선율을 서로 다른 악조로 구성한 곡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에는 귀로만 감상한 후, 기명과 독경의 악보를 직접 눈으로 따라가며 다르게 연주되는 부분에 귀 기울여 다시 한번 감상하였다. 비슷한 듯 다른 두 악곡을 감상하는 것도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음악 수업을 접하면서 종묘제례악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음악 교사를 꿈꾸는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종묘제례악의 구체적인 절차와 특징, 그리고 음악적 특징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학습하거나 관심을 가지는 학생은 많지 않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많은 학생들이 멀고 어렵게 생각하는 종묘제례악, 나아가 다양한 국악을 자주 소개하여 국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음악교육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또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인 종묘제례악의 웅장함을 깊게 느끼며 감상한 것 같아 뿌듯하다.
댓글등록 현재 0자 (최대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