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안채비소리

  • 작성일2014-11-16

【정의】축원문을 낭송조로 부르는 불교음악.

【이칭】염불

【유래 및 역사】삼국시대 불교가 유입될 때 같이 들어와 점차 한국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오늘날의 형태가 언제부터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내용】안채비소리는 보통 염불이라 부르는 소리이며, 바깥채비소리(홑소리, 짓소리)와 대를 이룬다. 염불은 절에서 재를 올리는 절 안의 병법(재의식을 집행하는 스님의 직명) 또는 법주(설법을 맡은 스님)가 유치·청사 같은 축원문을 요령을 흔들며 낭송하는 소리이다. 즉, 대개 한문으로 된 산문의 긴 글을 촘촘히 엮어가며 부르는 낭송조로 되어있다.

안채비소리의 곡목에는 착어성, 창혼, 유치성, 청문성, 편게성, 소성, 축원성, 가영성, 고아게성, 헌좌게성, 종성, 탄백성 등이 있고, 특히 착어성과 유치성, 편게성, 소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서로 조금씩 다른 선율진행 특징이 있으며, 대부분 경상도 지역 음악 어법인 메나리토리(미, 솔, 라, 도', 레')로 되어있다. 착어성은 시조와 창법 및 선율진행 방식이 유사하여, 상호 밀접한 음악적 관련성을 짐작케 하기도 한다. 대표로 <소성>의 선율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안채비소리

【필자】손인애

【참고문헌】한만영,『불교음악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김민정(동환),「범패 성에 대한 연구」, 서울: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