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한강수타령

  • 작성일2014-11-16

【정의】경기 통속민요의 하나.

【내용】메기는소리의 첫 가사가 ‘한강수라’ 또는 ‘한강수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한강수타령>이라고 한다. 본래 산타령패의 입창에 속하는 노래(서서 흥겹게 부르는 소리)로, 최근 사당패소리 중 <사랑타령>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의견이 있어 사당패소리와의 밀접한 관계를 짐작케 한다.

현재는 주요 구성음이 라, 도', 레', 미', 솔'인 반경토리(경토리와 메나리토리가 섞인 형태)로 되어있지만, 20세기 전반에는 서도 창자들도 선호하여 주요 구성음이 라, 도', 미', 솔'이며 미'에 굵은 요성이 나타나는 반수심가토리(수심가토리와 메나리토리가 섞인 형태)로 된 소리들도 보인다. 이를 통해 과거 경기와 서도 음악 문화권의 깊은 연관성을 엿볼 수 있다. 선율이 대체로 한 옥타브 내에서 화려하고 경쾌하게 진행되며, 종지는 로 하행한다. 유절형식으로 받는소리와 메기는소리가 굿거리 네 장단을 주고받으며, 받는소리 가락은 일정하지만 메기는소리는 절에 따라 질러내거나 숙여내면서 조금씩 변화시켜 부른다. 그 가사와 선율은 다음과 같다.

 

받는소리: 아아하 에헤요 에헤요 어허야 얼사함마 둥게 디여라 내 사랑아

메기는소리: 1. 한강수라 깊고 맑은 물에 수상선 타고서 에루화 뱃놀이 가잔다

2. 한강수야 네가 말을 하려마 눈물 둔 영웅이 몇몇 줄을 지은고

3. 멀리 뵈는 관악산 웅장도 하고 돛단배 두서넛 에루화 한가도 하다

4. 유유히 흐르는 한강물 위에 뗏목 위에 노래도 에루화 처량도 하다

5. 조요한 월색은 강심에 어렸는데 술렁술렁 배 띄워라 에루화 달맞이 가잔다 (후략)

 

<악보> 20세기 전반기 한강수타령/ 김난홍(경기)과 박추월? 박산월(서도) 창

한강수타령

【필자】손인애

【참고문헌】이창배,『가요집성』,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손인애,「경기민요 한강수타령 연구」,『한국음반학』제10호, 서울: 한국고음반연구회, 2000.「20세기 전·후반기 경·서도 통속민요의 변모 양상」,『경기전통예술 시리즈Ⅱ-경기잡가』, 수원: 경기도국악당, 20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