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둥그래당실

  • 작성일2014-11-16

【정의】제주도 통속민요의 하나.

【내용】<둥그래당실>이란 곡명은 받는소리 가사인 ‘둥그래 당실 둥그래 당실’에서 따서 나온 것이며, 대표적인 메기는소리 가사의 첫머리를 따서 <오돌또기>라고도 한다. 그런데 이 노래는 현재 대표적인 제주도 통속민요로 제주도 자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지만, ‘본래 제주도에서 발생한 민요가 아니라 전통 시대 육지의 사당패에 의해 전파된 후 제주도 향토민요로 수용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이에 경기 사당패소리였던 <오독도기>와 이를 토대로 근세기 창민요(전문소리꾼이 부르는 민요)화된 경기 통속민요 <오돌독>과 그 특징이 많이 유사하다. 즉 경기 음악 어법에 해당하는 반경토리에 가까운 음조직(라, 도', 레', 미', 솔', (시'))로 되어있고, 선율이 상당히 경쾌하고 흥겹다. 그리고 느린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네 장단씩 주고받으며 부르는데, 메기는소리는 대개 높은 음역에서 질러내고 받는소리는 낮은 음역에서 숙여내며 음악적 대비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그 가사와 선율은 다음과 같다.

 

받는소리: 둥그래(대) 당실 둥그래(대) 당실 너도 당실 원자(연자) 머리로

달도 밝고 내가 머리로 갈거나

메기는소리: 1. 오돌또기 저기 춘향 나온다 달도 밝고 내가 머리로 갈거나

2. 한라산 허리에 시러미 익은 숭 만 숭 서귀포 해녀는 바당에 든 숭 만 숭

3. 제주야 한라산 고사리 맛도 좋고 좋고 읍내야 축항 끝 뱃놀이 듣기도 좋고 좋고 4. 성산포 일출봉 해 돋는 구경도 좋고 좋고 읍내야 사라봉 해 지는 구경도 좋고 좋고

5. 청사초롱에 불 밝혀 들고 춘향의 집을 찾아나 갈거나 (후략)

 

<악보> 제주도 조천지역의 <둥그래당실>(오돌또기)

 

창: 허창수(남) 외

채보: 손인애

둥그레당실

【필자】손인애

【참고문헌】이창배,『가요집성』,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이보형,「오독도기 소리 연구」,『한국민요학』제3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1995.

손인애,「<오독도기>계통 소리 연구」,『한국민요학』제19집, 서울: 한국민요학회, 20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