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바깥채비소리

  • 작성일2014-11-16

【정의】절에서 재를 올릴 때 절 밖으로부터 초청되어 온 범패승이 부르는 노래.

【이칭】겉채비소리

【유래 및 역사】삼국시대 불교가 유입될 때 같이 들어와 점차 한국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오늘날의 형태가 언제부터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내용】대부분의 범패는 바깥채비소리를 가리킨다. 바깥채비소리에 해당하는 노래는 홑소리, 짓소리, 화청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 범패승들은 홑소리와 짓소리를 전형적인 바깥채비소리로 본다.

홑소리는 명칭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범패승이 혼자 부르는 독창으로, 일정한 장단이 없고 짓소리보다 선율이 간단하며 메나리토리(미, 솔, 라, 도', 레')로 되어있다. 그리고 5언 또는 7언 절구의 한문을 가사로 한다. 짓소리는 장부(丈夫)라는 리더를 중심으로 부르는 합창으로, 이 역시 일정한 장단이 없으며 홑소리보다 선율이 길고 웅장하다. 범어(고대 인도의 언어)나 불·보살명을 가사로 하며 홑소리에 비해 가사의 길이가 짧지만, 음악적 길이는 훨씬 길다. 예를 들면, 짓소리 중 <거령산>은 그 가사인 ‘나무영산회상불보살’을 40~50분에 걸쳐 부른다. 범패승들은 보통 홑소리를 모두 배운 다음, 짓소리를 배운다. 그리고 홑소리와 짓소리는 모두 가사 한 자가 수많은 음들로 구성되는 일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 style)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잣는 소리(자출이는 소리), 새 쫓는 소리 같은 독특한 선율형태가 나타난다. 화청은 재의식(齋儀式)에서 부르지만 이른바 포교용 음악으로, 마지막 회향의식에서 죽은 자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부르는 <축원화청>과 대개 공식적인 재의식이 끝난 후에 효나 인생무상, 선행을 권하는 내용을 노래하는 일반 <화청>이 있다. <축원화청>은 가사가 한문으로 되어있지만, 일반 <화청>은 우리말의 순 한글로 되어있다. 포교 음악이라 민중들에게 잘 공감되는 민요 가락으로 되어있고, 세마치장단 또는 엇모리장단에 맞으며 일정한 박자를 유지한다. 범패승들은 화청이 다소 즉흥적인 민요 가락으로 되어있어, 전형적인 바깥채비소리로 보지 않는다. 바깥채비소리의 예로, 홑소리 <복청게>의 선율은 다음과 같다.

 

창: 송암스님

자료: 송암 스님 유작집 [영산]

채보: 손인애

바깥채비소리

【필자】손인애

【참고문헌】한만영,『불교음악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손인애,「경제 <복청게>계통 소리의 음악사적 연구」,『한국음악사학보』제48집, 서울: 한국음악사학회, 201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