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배따라기

  • 작성일2014-11-16

【정의】평안도 민요 또는 잡가의 하나.

【유래 및 역사】<배따라기>는 평안도 어느 지방의 어부요에서 발생한 민요이다.

【내용】<배따라기>는 뱃사람들의 고달프고 덧없는 생활을 서사체의 긴 가사로 엮고 있으며, 그 가락이 슬프고 애처롭다. 일정한 받는소리가 없는 장절형식이지만, 중간중간에 ‘에 지화자자 좋다’가 제창으로 나타나 가사 및 선율의 단락감을 느낄 수 있다. 장단은 여섯 박자 도드리장단이 중심이 되고, 가락은 수심가토리(레, 미, 솔, 라, 도')가 주를 이루면서 경기 잡가의 영향이 더러 보인다. 따라서 순수한 민요라기보다는 장절형의 잡가에 더 가깝다. 이 곡의 뒤에는 대개 <자진배따라기>를 이어 부르며, <(긴)배따라기>보다 한층 밝고 가벼운 가락으로 만선(물고기를 많이 잡아 가득히 실은 배)의 즐거움을 노래한다. <자진배따라기>는 리듬이 빠르고 경쾌하지만, 박자가 불규칙하여 일정한 장단에는 맞지 않는다. 그리고 수심가토리가 주를 이루지만, 중간중간 경기 음악 어법인 경토리(솔, 라, 도', 레', 미')가 나타나기도 한다. <배따라기>의 가사와 선율은 다음과 같다.

 

1. 이내 춘색은 다 지나가고 황국 단풍이 다시 돌아오누나

* 이에-지화자자 좋다

2. 천생만민은 필수지업이 다 각기 달라 우리는 구태여 선인이 되어 먹는 밥은 사자밥이요 자는 잠은 칠성판이라지 옛날 노인 하시던 말씀은 속언 속담으로 알아를 왔더니 금월금일 당도하니 우리도 백년이 다 진토록 내가 어이 하잘꼬

* 이에-지화자자 좋다

3. 이렁저렁 행선하여 나가다가 좌우 산천을 바라를 보니 운무는 자욱하여 동서사방을 알 수 없다누나 영좌님아 쇠 놓아 보아라 평양의 대동강이 어디로 붙었나

* 이에-지화자자 좋다

4. 연파만리 수로창파 불리어 갈 제 뱃전은 너울너울 물결은 출렁 해도중에 당도하니 바다에 저라하는 건 노로구나 쥐라고 하는 건 돌이로구나 만났더니 뱃삼은 갈라지고 용총 끊어져 돛대는 부러져 삼동에 나고 깃발은 찢어져 환고향할 제 검은 머리 어물어물하여 죽는 자이 부지기수라 할 수 없어 돛대차고 만경창파에 뛰어드니 갈매기란 놈은 요내 잔등을 파고 상어란 놈은 발을 물고 지긋지긋 찍어 당길 적에 세상에 우리도 인생으로 생겨를 났다가 강호의 어복중 장사를 내가 어이 하잘꼬

* 이에-지화자자 좋다 (후략)

배따라기

【필자】손인애

【참고문헌】이창배,『한국가창대계』, 서울: 홍인문화사, 1976.

장사훈·성경린,『조선의 민요』, 서울: 국제음악문화사, 1949.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