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관악합주

  • 작성일2014-11-16

【정의】관악기로 편성된 합주 형태.

【이칭(異稱)】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는 대풍류라고 함.

【내용】 관악합주는 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와 당피리 중심이 관악합주로 구분한다. 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는 기본적으로 삼현육각 즉 피리2, 대금1, 해금1, 장구1, 좌고1로 편성하는 형태이다. 삼현육각의 편성을 확대한 관악합주는 다수의 피리, 대금, 해금과 장구1, 좌고1의 악기 편성에 아쟁과 소금 그리고 박을 첨가한 것이다. 향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로 연주하는 악곡으로는 <<관악영산회상>>, <수제천>, <동동>, <자진한잎>, <길군악>, <길타령>, <별우조타령> 등이 있다. 당피리 중심이 관악합주의 악기 편성은 박, 당피리, 대금, 해금, 당적, 아쟁, 편종, 편경, 방향, 좌고이다. 장구는 악곡에 따라 첨가되기도 한다. 당피리 중심의 관악합주로 연주하는 악곡으로는 <보태평>, <정대업>, <경모궁제례악>,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여민락령>, <해령>, <보허자>, <낙양춘> 등이 있다.

【필자】 임병옥

【참고문헌】 장사훈, [국악총론].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