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정재

  • 작성일2014-11-16

【정의】궁중에서 여령(女伶)이나 무동(舞童), 지방의 교방 기녀들이 추었던 무용.

【내용】정재는 ‘재예(才藝)를 올린다’는 의미가 있으나 흔히 궁중 또는 지방의 교방에서 연행된 무용을 가리킨다. 궁중에서 연행된 무용만을 ‘정재’라 하고, 궐 밖 지방에서 연행된 것은 ‘교방춤’이라 하여 구별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둘을 총칭하기도 한다.

 계통에 따라 송나라에서 전해진 당악정재와 우리나라에서 형성된 향악정재로 나뉜다. 고려시대에는 헌선도?수연장?오양선?포구락?연화대 등의 당악정재와 무고?동동?무애의 3가지 향악정재가 있었다. 이 정재들은 조선조에 전승되었으며 이외에도 새로운 정재가 만들어졌다. 특히 순조의 아들 익종은 부왕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가인전목단?헌천화?만수무?춘앵전 등의 새로운 정재를 만들어 부왕을 즐겁게 하였다. 당악정재와 향악정재는 형식과 반주 음악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고, 그러한 차이가 조선 전기까지 유지되다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그 구분이 모호해졌다.

【필자】임미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