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향악정재

  • 작성일2014-11-16

【정의】향악 반주곡에 맞추어 공연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궁중무용.

【유래 및 역사】삼국시대 이래로 전승되어온 춤과 조선 초기 또는 조선 말기에 창작된 전통춤들이 모두 향악정재에 속한다. 《고려사》<악지> 에 향악정재로 <무고>ㆍ<동동>ㆍ<무애>의 세 가지가 전하고, 《악학궤범》에는 <보태평>ㆍ<정대업>ㆍ<아박>ㆍ<향발>ㆍ<학무>ㆍ<학ㆍ연화대ㆍ처용무합설>등이 전한다.

【내용】계통상으로 중국에서 들어온 당악정재(唐樂呈才)와 구별하여 우리나라 전통 궁중무용이라는 의미로 쓰이는 명칭이다. 당악정재와 비교할 때, 향악정재의 특징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로 교방 기녀를 무대로 인도하는 죽간자(竹竿子)가 없다. 둘째로 정재 공연의 시작과 끝에서 노래 부르는 한문 가사의 치어와 구호가 없다. 셋째로 공연 도중에 기녀들이 부르는 창사(唱詞)가 한문이 아닌 국문이다.

  향악정재 처용무

<향악정재 처용무>

【필자】임미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