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황해도 배연신굿

  • 작성일2014-11-16

【정의】서해안 지역에서 한 해 동안 바다에서 무사하기를 바라고, 풍어를 빌기 위해 행하는 무당굿.

【유래 및 역사】황해도 배연신굿의 유래에는 임경업(林慶業) 장군(將軍)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한다. 임 장군이 병사들을 거느리고 연평도로 건너갈 때 병사들이 굶주려 더 이상 나아갈 수 없었는데, 이때 임 장군이 가시나무 일종의 가지를 꺾어오게 한 후 물골에 나무를 세워 주문을 외우자 조기들이 나무에 많이 걸려들었다고 한다. 이 조기로 허기를 채운 병사들은 전쟁터로 나아갈 수 있었다. 이러한 유래로 옹진 지역의 배연신굿에서는 임경업 장군을 수호신으로 받들고 있다.

【내용】서해안 지역의 대표적인 풍어제의 하나이다. 주로 황해도 해주와 옹진, 연평도 지방에서 배를 가진 선주들이 배와 선원의 안전, 풍어 및 집안의 번창을 기원하는 굿을 한다. 배연신굿에서 ‘연신’이란 신을 모신다는 ‘영신’(迎神)에서 왔다고 한다. 배연신굿은 주로 음력 섣달그믐과 정월 보름 사이에 행하여지는데 이는 배에서 새해의 첫 굿을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배연신굿의 순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선주 댁 성주석’으로 주무가 선주 댁 안방에서 성주상을 차려 놓고 선주 및 가족, 집안의 운수와 평안을 기원한다. 다음으로는 ‘부정물림과 부산(또는 불산) 띄우기’인데 선장이 지휘하여 무당과 함께 제물 차림을 도와준다. 제물을 차리고는 무당 일행이 배에서 내려온 후 선원들이 자기들끼리 먼저 배의 부정을 푼다. 오래 선원 생활을 한 영자가 바가지에 숯을 띄운 물을 담고 사방으로 다니면서 작은 솔가지로 물을 뿌리며 부정을 푼 후 무당들을 배에 오르게 한다. 그리고 짚으로 둥글게 만든 부산에 음식을 넣고 불을 붙여 바다에 던진다.

 다음으로는 ‘신청울림’인데 본 굿이 들어가기 전에 부정한 잡귀, 잡신을 물리고 신에게 굿이 시작되는 것을 알리는 의식이다. 이어서 ‘당맞이’가 진행된다. 마을의 당에 가서 마을신 혹은 당신을 배에 모셔오는 것, 즉 만신(무당) 일행이 임경업 장군기를 당에 가지고 가서 맞이하여 배로 돌아오는 것이다. 이어서 <배치기>를 하고는 ‘부정거리’로 들어선다. 부정거리 또한 굿청을 정화하는 의식인데 선원들이 앞서 부산을 띄우지 않았으면 이 거리에서 바다에 띄워 보낸다. 다음 ‘초부정?초감흥거리’인데, 모셔온 여러 신들을 즐겁게 놀려 주고 좌정시키는 거리이다. 그리고 ‘영정물림거리’가 진행된다. 영정이란 뜬귀, 잡귀로서 모든 영정을 대접하여 질병과 근심?액운을 걷어내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소당제석거리’가 이어진다. 소당제석은 비린 것을 받지 않는 제석신이기 때문에 비린 것을 금하고, 산신제석, 용궁제석, 사해용왕제석 등을 청하여 대접하고 놀면서 배와 선원을 잘 도와달라고 하는 거리이다. 다음의 ‘먼산장군거리’에서는 여러 지역의 명산 장군신들인 최영(崔瑩)장군이나 임경업(林慶業)장군 등을 위시하여 불러 모시며, 장군 칼을 목에 대며 위엄을 보이는 ‘장군놀이’를 한다. 그 다음에 ‘대감놀이거리’를 하는데, 대감은 재수를 불어주는 신으로 그들을 위해주고 풍요를 기원한다. 이어서 ‘영산할아뱜·할먐거리’를 하며, 영산들을 잘 놀게 해주는 유희성이 가장 강한 거리이다. 무당과 영자가 탈을 쓰고 각각 할먐과 할아뱜이 되어 서로 헤어졌다가 다시 만난다는 이야기인데 매우 익살스러운 재담과 사설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서는 ‘쑹거주는거리’가 이어진다. 이 거리는 무당이 선주와 선원에게 복을 주고, 배 안전을 기원하는 거리인데, 흰 떡으로 고기를 상장하여 긴 무명 천 위에 올려놓고 양쪽에서 잡고 좌우로 흔들어 선주와 선원에게 준다. 이어서 ‘다릿발용신굿거리’가 진행된다. 배와 물을 연결하는 다릿발에서 무녀들이 제물을 조금씩 담은 짚 꾸러미를 이고 지고 서로 올라가고 내려가면서 실랑이하여, 잡신들을 위로하고 대접하여 먹이는 거리이다. 마지막으로 ‘강변굿거리’가 이어지는데 띠배에 제물과 별상을 실어 바다로 띄워 보내는 송신 굿거리이며 띠배에 모든 액을 실어 보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필자】이진원

【참고문헌】文化財硏究所 藝能民俗硏究室 편. [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 農樂·豊漁祭·民謠篇]. 서울: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1982.

하효길, 송봉화, [중요무형문화재 제82-나호 서해안배연신굿 및 대동굿]. 서울: 화산문화, 2002.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