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군례악

  • 작성일2014-11-16

【정의】임금의 행차, 군대의 출정 때에 고취악대로 연주되던 음악.

【이칭(異稱)】군악, 고취악, 취타악, 취타

【유래 및 역사】고취악은 흔히 타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이동식 악대로 연주된 음악을 말하는데, 고구려 벽화에 묘사된 고취악대의 연주 장면은 삼국시대에 고취악이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고취악은 고려, 조선조를 거쳐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다. 고취악을 연주하던 악대의 명칭, 악기 편성, 형태, 용도 등은 시대별로 차이가 있다. 조선조에는 임금의 행차, 군대의 출정, 외국 사신의 영접 등에 쓰였다.

【내용】군례악은 고취악과 관련된 것으로 제사 의식에 쓰인 제례악(祭禮樂), 연향(宴享)과 조의(朝儀)에 쓰인 연례악(宴禮樂)과 구별되는 갈래이다.

조선조에 군례악을 연주하던 고취악대로는 선전관청(宣傳官廳)과 오군영(五軍營) 그리고 지방의 감영(監營)?병영(兵營)?수영(水營) 등에 설치되었던 취고수(吹鼓手)와 세악수(細樂手), 내취(內吹)가 있었다. 취고수는 지휘와 통신의 기본적 임무 외에 군대의 행진, 왕의 거동, 사신의 영접 때 행악(行樂)을 연주하였다. 또한 중앙의 오군영이나 지방의 병영, 감영의 공식적인 잔치에서도 음악을 연주하였다. 내취는 병조 소속의 선전관청에 소속된 악대로 악기 편성과 역할에 따라 취타내취(吹打內吹)와 세악내취(細樂內吹)로 나뉜다. 이들은 취고수와 세악수와 소속 및 활동 영역이 다른 별도의 악대였다. 악기 편성에 있어 취타내취는 취고수, 세악내취는 세악수와 유사하다. 취타내취는 통신ㆍ입직ㆍ시위 등의 임무와 궁중 연향에서 연행된 선유락과 항장무의 군례(軍禮)의식 때에 쓰였고, 세악내취는 행진ㆍ연향ㆍ사악(賜樂)에 참여하였다. 태평소나각나발자바라 등으로 편성되었던 취고수와 취타내취의 연주 전통은 오늘날 대취타로 계승되고 있으며, 피리해금대금장고 등으로 편성되었던 세악수, 세악내취의 연주 전통은 오늘날 삼현육각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취타의 태평소 가락을 변주하여 관현합주 형태로 연주하는 취타가 파생되었다.

【필자】임미선

【참고문헌】송방송, [증보한국음악통사](민속원, 2007),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태학사, 2007)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