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사전

위도띠뱃놀이

  • 작성일2014-11-16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82-다호로 지정된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 대리(大里) 마을에 전승되는 마을굿.

【유래 및 역사】띠뱃놀이라는 것은 원당제(願堂祭)에서 바닷가 용왕굿 때에 띠배를 바다로 띄워 보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원래 명칭은 제당의 명칭인 ‘원당’을 따서 원당제라 불렸다. 원당제는 매해 정월 초사흗날 마을의 평안과 어민들의 풍어를 기원하는 의식이다.

【내용】위도띠뱃놀이는 원당에서의 당굿에 이어 마을의 주산을 돈 후, 바닷가로 가서 행하는 용왕굿까지를 말한다. 원당굿과 용왕굿에서 의식을 주관하는 무녀는 세습무가 담당한다.

 원당굿은 열두 서낭을 보신 원당에서 일 년 동안 모실 뱃신을 오색의 뱃기에 내림을 받는 의식이다. 성주를 모시는 성주굿, 산신님을 위하며 마을의 평간과 복을 기원하는 산신굿, 강남국의 손님(마마)을 위하고 명과 복을 기원하는 손님굿, 지신풀이와 명당풀이의 내용을 포함하는 지신굿, 원당 및 본당의 각 지역의 서낭을 불러 모시고 위하며 마을 인사들을 축복하는 서낭굿, 아린아이들의 수명장수와 복을 비는 애기씨서낭굿, 풍어를 바라는 장군서낭굿, 각 선주들이 모실 뱃신을 내림받는 깃굿, 여러 원혼을 달래는 문지기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원당굿이 끝나면 마을 곳곳과 우물 등을 돌며 농악을 울려 의식을 거행하고 마을의 평안을 바라는 주산돌기가 이어진다. 원당굿과 주산돌기가 이어지는 동안 마을 앞바다에서는 띠배를 만들고, 주산돌기에 이어서 용왕굿을 시작한다.

용왕굿에 사용되는 띠배는 띠풀과 짚, 싸리나무 등을 함께 엮어 길이 3m, 폭 2m 정도의 크기로 만드는데, 안에는 각종 제물과 함께 7개의 허수아비, 돛대, 닻을 만들어 달아 배 형태를 갖춘다. 마을 사람들은 띠배를 바다에 띠우면서 모든 액운이 사라지기를 기원한다.

【필자】이진원

【참고문헌】김익두, 이영금, 김월덕, 이명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중요무형문화재 제82-다호 위도띠뱃놀이]. 서울: 민속원, 2008.

 

 

 

목록